학술논문
특수교사의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교직전문성 지각 및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Special Teachers’ 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Occupational Stress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 differentiat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오숙현 조홍중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0권 제3호, 19~3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교직전문성 지각 및 직무 스트레스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광주·전남지역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교사 1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자아분화 수준은 성별로는 여성이, 경력별로는 5년이하 교사가 높았다. 둘째, 자아분화 수준이 높을수록 교직전문성 지각이 높았다. 셋째, 자아분화 수준 하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넷째, 가족퇴행 점수가 높을수록 교직전문성이 높았다. 다섯째, 자아통합 점수가 낮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special teachers’ 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occupational stress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 differentiation, and for this,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193 teachers working at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in Gwangju and Jollanam do.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level of self differentiation was higher in female teachers than in male ones, and in those with five years’ or shorter teaching experience than in others. In addition, the 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sm was higher in teachers with a high level of self differentiation, and occupational stress was higher in teachers with a low level of self differentiation. On the other hand, the 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sm was higher in teachers with a high score of family regression, and occupational stress was lower in those with a high score of self unifi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해석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특수교육지원센터 이용 방해 요인 분석
- The Comparison of Motivation to Learn in Inclusive Reading Classes between Students with and without Learning Disabilities
- 장애 대학생의 교수-학습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연구
- 특수교사의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교직전문성 지각 및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청각장애학교 유치부 부모의 학교 참여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평균대 운동 프로그램이 청각장애학생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 ADHD유아에 대한 조기 판별 가능성 탐색
- 수정된 SQ3R 독해전략 훈련이 읽기장애 아동의 독해력 및 읽기인식력에 미치는 영향
- 다운증후군 아동의 명사 및 동사 인출과 이해특성
- 통합보육시설에서의 일반교사와 통합지원교사의 역할 수행과 협력
- 청각장애 중학생과 일반 중학생의 학습기술 비교
- 특수학교 교사의 교직 경력별 동료장학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 특수학급학생의 중학교 전이기 지원에 대한 특수학급교사의 인식
- 특수교육과정 국어과에 기반한 그림책 읽기 및 놀이 연계 프로그램의 효과
- 지적장애아를 둔 어머니의 양육 경험 및 삶의 질에 대한 질적 연구
-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교육 평가 실태와 태도 및 인식 조사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