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수학교 교사의 교직 경력별 동료장학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The differences of Awareness about Peer Supervision by Special Teacher's Experience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노선옥 정희섭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0권 제3호, 285~300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9.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특수학교 교사의 교육경력별 동료장학 인식의 차이를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특수학교 교사 126명이며, 유길한과 홍영기(2005)의 조사도구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교 교사들의 동료장학에 대한 인식이 교직경력별로 집단간 큰 차이를 보인다는 결과를 얻었다. 특히 ‘교직경력이 6년 이상~10년 이하’의 집단은 동료장학 전반에 대하여 나머지 두 집단과는 다른 인식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내용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교 교사들의 동료장학에 대한 인식은 교직경력별로 집단간 큰 차이를 보였다. 특히 ‘교직경력이 6년 이상~10년 이하’의 집단은 동료장학에 대하여 방법과 효과에 대하여 부정적인 인식이 강하였다. 둘째, 특수학교 교사들이 응답의 집단간 차이를 보이지 않는 영역은 동료장학의 고립감을 해소 기능, 훈련의 필요성, 동학년 동교과 교사의 참여, 모든 교사의 의무적 참여, 위화감 조성, 통제 수단으로서의 기능 등이었다. 셋째, 특수교사 중 ‘11년 이상’ 집단은 동료장학에 대하여 가장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으며, ‘5년 이하’ 집단은 동료장학의 결과를 교사 평가 자료로 활용하는 일에 부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awareness about peer supervision by special teacher's experience. The questionarie for this study was adjusted to Yu & Hong(2005)'s, was contented 6 domains of peer supervision. The subjects were 126 special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wide differences of awareness about peer supervision between more conceptual level special teacher and lower conceptual level special teacher. And Particularly, the teacher's group with from 6 years's experience to 10 years'. had more negative awareness about peer supervision from other two group but had a more strong will.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for peer supervision but hesitated to participate why they felt strongly anxiety about rating from their peers. Consequently, they did not take a view about peer supervision as a kind of developmental communication for theirs but measuring their professional abilities. Thir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for a training for peer supervision. It did not depend on their experience. And more than usually it had relationship with the belief that their peer were not efficient in peer supervis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노선옥,정희섭. (2008).특수학교 교사의 교직 경력별 동료장학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0 (3), 285-300

MLA

노선옥,정희섭. "특수학교 교사의 교직 경력별 동료장학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0.3(2008): 285-3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