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학교 교사의 교직 경력별 동료장학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The differences of Awareness about Peer Supervision by Special Teacher's Experienc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노선옥 정희섭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0권 제3호, 285~30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9.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특수학교 교사의 교육경력별 동료장학 인식의 차이를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특수학교 교사 126명이며, 유길한과 홍영기(2005)의 조사도구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교 교사들의 동료장학에 대한 인식이 교직경력별로 집단간 큰 차이를 보인다는 결과를 얻었다. 특히 ‘교직경력이 6년 이상~10년 이하’의 집단은 동료장학 전반에 대하여 나머지 두 집단과는 다른 인식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내용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교 교사들의 동료장학에 대한 인식은 교직경력별로 집단간 큰 차이를 보였다. 특히 ‘교직경력이 6년 이상~10년 이하’의 집단은 동료장학에 대하여 방법과 효과에 대하여 부정적인 인식이 강하였다. 둘째, 특수학교 교사들이 응답의 집단간 차이를 보이지 않는 영역은 동료장학의 고립감을 해소 기능, 훈련의 필요성, 동학년 동교과 교사의 참여, 모든 교사의 의무적 참여, 위화감 조성, 통제 수단으로서의 기능 등이었다. 셋째, 특수교사 중 ‘11년 이상’ 집단은 동료장학에 대하여 가장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으며, ‘5년 이하’ 집단은 동료장학의 결과를 교사 평가 자료로 활용하는 일에 부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awareness about peer supervision by special teacher's experience. The questionarie for this study was adjusted to Yu & Hong(2005)'s, was contented 6 domains of peer supervision. The subjects were 126 special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wide differences of awareness about peer supervision between more conceptual level special teacher and lower conceptual level special teacher. And Particularly, the teacher's group with from 6 years's experience to 10 years'. had more negative awareness about peer supervision from other two group but had a more strong will.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for peer supervision but hesitated to participate why they felt strongly anxiety about rating from their peers. Consequently, they did not take a view about peer supervision as a kind of developmental communication for theirs but measuring their professional abilities. Thir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for a training for peer supervision. It did not depend on their experience. And more than usually it had relationship with the belief that their peer were not efficient in peer supervis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특수교육지원센터 이용 방해 요인 분석
- The Comparison of Motivation to Learn in Inclusive Reading Classes between Students with and without Learning Disabilities
- 장애 대학생의 교수-학습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연구
- 특수교사의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교직전문성 지각 및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청각장애학교 유치부 부모의 학교 참여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평균대 운동 프로그램이 청각장애학생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 ADHD유아에 대한 조기 판별 가능성 탐색
- 수정된 SQ3R 독해전략 훈련이 읽기장애 아동의 독해력 및 읽기인식력에 미치는 영향
- 다운증후군 아동의 명사 및 동사 인출과 이해특성
- 통합보육시설에서의 일반교사와 통합지원교사의 역할 수행과 협력
- 청각장애 중학생과 일반 중학생의 학습기술 비교
- 특수학교 교사의 교직 경력별 동료장학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 특수학급학생의 중학교 전이기 지원에 대한 특수학급교사의 인식
- 특수교육과정 국어과에 기반한 그림책 읽기 및 놀이 연계 프로그램의 효과
- 지적장애아를 둔 어머니의 양육 경험 및 삶의 질에 대한 질적 연구
-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교육 평가 실태와 태도 및 인식 조사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