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제정 이후에 나타나고 있는 특수교육의 변화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Change of Special Education after the Amendment of “Act on Special Education for Disabled Persons, etc.”: Focused on Special Schools in KyungSangNamDo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용욱 유종열 백운찬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1권 제4호, 259~28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이 제정된 이후로 특수학교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를 알아보는 것이다. 특수학교의 변화된 모습을 알아보기 위해서 경남지역에 있는 7개의 특수학교를 대상으로 ‘교육과정의 운영’, ‘개별화교육’, ‘순회교육’ ‘학급증설과 교원배치’, ‘특수교육관련 서비스’ 등의 영역에 대해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교육과정영역에서는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선택권과 재량권을 부여한 조치는 특수학교의 현실을 반영한 바람직한 조치라는 의견들이 많았고, 이러한 조치들은 법이 개정되기 이전에도 벌써부터 실시되어왔던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화교육을 강화시키기 위해 상세화 시킨 규정들은 실제로는 학교의 상황과 여건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순회교육도 각 학교의 여건이나 상황에 따라 운영하는 방식이 조금씩 달랐으며, 4․6․6․7 의 학반배정기준에 따라 도교육청에서는 법규정을 지키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었고 치료지원을 포함한 특수교육 관련서비스에서도 각 학교에서는 치료사들을 고용하여 치료지원을 실시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anges in special schools after the amendment of “Act on Special Education for Disabled Persons, etc.”. Interviews of seven teachers from special schools in KyungSangNamDo were implemented to examine changes in the area of the management of educational curricula, individualized education, itinerant education, increase of classes and assignment of teachers, and related services.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desirable matters that selection and discretion relating to the management of educational curricula were given to the special school. Detailed regulations for strengthening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have been applied differently depends on school's circumstances. Itinerant education has been managed similar to the management of individualized education. It is turned up that the local educational district has followed up regulations such as 4-6-6-7 allocation standard and providing related services including therapeutic treatm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지체 특수학교 직업평가 실태 분석
- 예비특수교육 교사들이 인식한 특수교육 교사 리더십
- 보육교사가 통합교육 실천 및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는 제도적 맥락의 특성
-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의 ADHD학생 교육에 대한 스트레스 연구
- Memory Strategies for Visual Linguistic Information of Hearing Impaired Children: Analysis of Eye Movements and Recall
- 부적응행동으로 의뢰된 초등학생의 지능수준에 따른 BGT 반응특성 비교 연구
- 장애학생의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이독성 관련 연구 고찰
- 초등 특수교육 교사의 지식 및 기술 역량 요인 연구
- 특수교육보조원과 특수교사의 협력적 역할과 의사소통에 대한 인식
- ‘인지적으로 안내된 교수’가 정신지체 학생들의 덧셈․뺄셈 문장제 문제 해결에 관한 연구
-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의사소통 형태가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초등특수교육에 있어서의 장애아동 교육 상담 실태 및 교사의 인식
- 인공와우 수술에 대한 청각장애 성인의 인식 조사
- 문장 구조 이해 프로그램의 적용이 읽기학습부진아동의 읽기 인식능력 및 읽기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 유치원 운영시간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 특성 비교
- 초등학교 전이프로그램을 통한 특수아동의 학교생활 적응과 부모 및 교사의 인식에 대한 사례 연구
- 매체동화가 특수아동의 정서발달에 미치는 교육적 함의에 대한 해석학적 연구
- 특수학교 기간제교사의 운영실태 분석
- 자폐유아의 공동 주의(joint attention)개시 발달과 가치에 관한 이론적 고찰
-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제정 이후에 나타나고 있는 특수교육의 변화
-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아동 부모의 통합교육에 관한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