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특수교육 교사들이 인식한 특수교육 교사 리더십
이용수 0
- 영문명
- Special education teacher leadership perceived by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이미아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1권 제4호, 121~13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특수교육 교사들이 인식하는 특수교육 교사 리더의 자질과 역할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K대학 4학년 학생 17명으로, 4주간의 교육실습 기간 동안 특수교육 교사 리더십을 주제로 반성적 저널을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주제별 약호화한 다음 예비 범주를 만들고 이에 대해 논의와 합의를 거쳐 최종 범주를 확정하였다. 연구결과 교육실습 과정에서의 경험을 통해 예비특수교육 교사들은 특수교육 교사 리더는 교수수행에 대한 전문성, 인성 및 사회적 능력, 자기개발 및 전문성 신장, 협력, 멘토, 교직신념을 갖추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기존 일반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사 리더십의 연구결과들과 유사한다. 이는 특수교육 교사와 일반교사들이 비록 주교육대상이 차이가 있다하더라도 교사에게 요구되는 리더십은 크게 다르지 않음을 말해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leadership perceived by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rough reflective journal writing during their practicum. Participants were 17 students of a college of special education who participated in field experience for four weeks. Students were asked to write reflective journals in the period of four week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content analysis procedure was selected that included the following steps: review data, analyze and group similar ideas into categories, and define categorized responses. The result showed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special education teacher leaders need to have professional knowledge, practical teaching skills, desirable personalities, social competence, positive attitudes toward personal or professional growth, teaching beliefs. They also perceived that special education leaders have to collaborate with colleagues, parents, and other specialists and to give colleagues or new teachers help and advice related to their job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연구의 함의와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지체 특수학교 직업평가 실태 분석
- 예비특수교육 교사들이 인식한 특수교육 교사 리더십
- 보육교사가 통합교육 실천 및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는 제도적 맥락의 특성
-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의 ADHD학생 교육에 대한 스트레스 연구
- Memory Strategies for Visual Linguistic Information of Hearing Impaired Children: Analysis of Eye Movements and Recall
- 부적응행동으로 의뢰된 초등학생의 지능수준에 따른 BGT 반응특성 비교 연구
- 장애학생의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이독성 관련 연구 고찰
- 초등 특수교육 교사의 지식 및 기술 역량 요인 연구
- 특수교육보조원과 특수교사의 협력적 역할과 의사소통에 대한 인식
- ‘인지적으로 안내된 교수’가 정신지체 학생들의 덧셈․뺄셈 문장제 문제 해결에 관한 연구
-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의사소통 형태가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초등특수교육에 있어서의 장애아동 교육 상담 실태 및 교사의 인식
- 인공와우 수술에 대한 청각장애 성인의 인식 조사
- 문장 구조 이해 프로그램의 적용이 읽기학습부진아동의 읽기 인식능력 및 읽기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 유치원 운영시간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 특성 비교
- 초등학교 전이프로그램을 통한 특수아동의 학교생활 적응과 부모 및 교사의 인식에 대한 사례 연구
- 매체동화가 특수아동의 정서발달에 미치는 교육적 함의에 대한 해석학적 연구
- 특수학교 기간제교사의 운영실태 분석
- 자폐유아의 공동 주의(joint attention)개시 발달과 가치에 관한 이론적 고찰
-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제정 이후에 나타나고 있는 특수교육의 변화
-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아동 부모의 통합교육에 관한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