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육교사가 통합교육 실천 및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는 제도적 맥락의 특성
이용수 0
- 영문명
-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institutional contexts of practices and practical knowledges for inclusive education: On human ecological perspective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정계숙 고은경 김미정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1권 제4호, 233~25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가 통합교육 실천과 실천적 지식을 형성해가는 제도적 맥락의 특성을 인간생태학적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효과적인 통합교육의 실천을 위한 맥락적 특성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대외적으로 통합교육을 표방하며 상호협력적인 교류를 하고 있는 세 개의 어린이집 교사 10명으로 반구조화된 개별 면담을 실행하고 문서 자료를 수집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통합교육 실천과 실천적 지식이 형성되는 제도적 맥락은 첫째, 보육교사들의 통합교육 실천으로 유도하는 기저 맥락은 통합교육을 격려하는 대학의 교육과정, 장애유아와의 만남 기회를 확장시키는 잠재적 교육과정, 자기성장을 기대할 수 있는 표방된 통합보육기관, 다양한 지원망을 가진 시스템이었다. 둘째, 인적 자원의 효율성을 높이는 정례화된 협의활동, 다양한 실천이 파생되는 장(場), 실천적 지식이 공식화되는 공동체 문화라는 제도적 맥락의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그 교육적 시사점 및 인간생태학적 관점의 유용성에 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stitutional contex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n institutional context of practical knowledges and practices for inclusive education. Data from semi-structured face to face interviews and the documents related to their inclusive education experiences by 10 day care teachers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basic contexts leading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e for inclusive education are 1) the college curricula encouraged to practice for inclusive education, 2) latent curriculum meeting face to fac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3) the institutes advocating inclusive education which can make teachers' self-development of inclusive education practices come true, 4) the network systems providing the various support. Second, the institutional contexts leading the practical knowledges of day care teachers are the regularization of consultative meetings improving efficiency of the human resources, the fields deriving various practices, and the community cultures formulating the practical knowledge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the effectiveness of human ecological perspective on understanding the institutional context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지체 특수학교 직업평가 실태 분석
- 예비특수교육 교사들이 인식한 특수교육 교사 리더십
- 보육교사가 통합교육 실천 및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는 제도적 맥락의 특성
-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의 ADHD학생 교육에 대한 스트레스 연구
- Memory Strategies for Visual Linguistic Information of Hearing Impaired Children: Analysis of Eye Movements and Recall
- 부적응행동으로 의뢰된 초등학생의 지능수준에 따른 BGT 반응특성 비교 연구
- 장애학생의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이독성 관련 연구 고찰
- 초등 특수교육 교사의 지식 및 기술 역량 요인 연구
- 특수교육보조원과 특수교사의 협력적 역할과 의사소통에 대한 인식
- ‘인지적으로 안내된 교수’가 정신지체 학생들의 덧셈․뺄셈 문장제 문제 해결에 관한 연구
-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의사소통 형태가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초등특수교육에 있어서의 장애아동 교육 상담 실태 및 교사의 인식
- 인공와우 수술에 대한 청각장애 성인의 인식 조사
- 문장 구조 이해 프로그램의 적용이 읽기학습부진아동의 읽기 인식능력 및 읽기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 유치원 운영시간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 특성 비교
- 초등학교 전이프로그램을 통한 특수아동의 학교생활 적응과 부모 및 교사의 인식에 대한 사례 연구
- 매체동화가 특수아동의 정서발달에 미치는 교육적 함의에 대한 해석학적 연구
- 특수학교 기간제교사의 운영실태 분석
- 자폐유아의 공동 주의(joint attention)개시 발달과 가치에 관한 이론적 고찰
-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제정 이후에 나타나고 있는 특수교육의 변화
-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아동 부모의 통합교육에 관한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