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학교 전공과 장애학생의 교육실태 및 지원 요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Education and Needs of Supports for the Post-High School Specialized Vocational Porgram Disabilities Students in Special School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영주 신진숙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3권 제1호, 341~36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특수학교 전공과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의 특수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과 부모들을 대상으로 장애학생의 특수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다양한 각도에서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 소재 H 특수학교의 전공과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 11명과 전공과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의 부모 9명을 대상으로 각각 핵심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공과 장애학생의 특수교육에 대한 부모와 교사들의 만족도는 정부의 물적 지원, 교육시설 및 학습 자료 부분에서 공통적으로 다소 높았으나, 정부 정책 및 장애인 복지 업무, 전공과 설치 및 운영, 교사자질 및 수업태도에서 불만을 나타내었다. 둘째, 전공과 장애학생의 특수교육에 대한 문제점에 있어서 교사와 부모 모두 복지 예산 집행의 형평성 및 합리성 부족과 사회 복지 정책 지원체계가 미흡함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교사들은 부모의 과도한 요구 및 전공과 이해 부족으로 인한 전공과의 정체성 혼란을 지적하였고 부모들은 교육프로그램의 현실성 부족을 언급하였다. 셋째, 개선 방안에 있어서 정부 직영사업장 설치 및 보호작업장 확충과 교사의 전문성 자질 함양, 교육여건 개선, 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화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environment of transition education through researching individual experience and recognition of teachers and parents by focused group interview to recognize controversial point and improvement plan about special education variously. For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11 teachers and 9 parents with children in major of H intellectual disability special school located Kyongnam participated in focused group interview. The data from interview were analyzed by constant comparative methods about satisfactions, controversial points, improvement plans were deducted, based on them, the results of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First, the satisfactions of parents and teachers about transition education for intellectual disability students were higher commonly on a material supports from government, educational facilities, learning materials than policies of government, services on handicapped person. Second, the parents and teachers commonly indicated controversial point of transition education for intellectual disability students about insufficiency of equity and rationality on execution of welfare budget. And the teachers indicated controversial point of transition education about parents' excessive demands and deficient understanding on major, weakening of standard to select and arrange students, confusion of purpose and identity to major foundation, excess of the total number per class, absence of special educational assistant, insufficiency of educational policies. Third, teachers mainly suggested improvement plan of transition education for intellectual disability students about realization of major curriculum, sheltered workshop with good support system, subdivision of major organization and variety of education program etc.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지체학생의 읽기와 쓰기 능력에 대한 연구
- 특수교육 관련 학술지에서의 인공와우 연구동향 분석
- 특수교사의 교육용 웹사이트 활용 현황 및 개선 요구에 관한 연구
- 인공와우 사용 청각장애 아동의 생성이름대기 특성 연구
- ADHD아동 부모의 통합학급 교사와의 협력에 대한 만족도와 방해요인 탐색
- 초등학교 4-6학년 학생들의 ADHD성향, 사회기술수준과 정서적 문제간의 관계분석
- 일반초등학교에 통합된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구어능력 및 관련변인 분석
-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정신지체 초등학생의 자리이탈 행동과 과제수행 행동에 미치는 효과
- Perceptions of American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Family Partnership during Transition
- 수학동화를 이용한 일지쓰기 활동이 수학교과학습부진아의 수학성취도와 수학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 정신지체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업교과서 활용실태
- 장애아전담보육시설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 감정 읽어주기가 아스퍼거 장애 아동의 공격행동 감소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적 행동지원 연구 동향 분석
- 청각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사회적 기술 수준과 공감 능력 비교
- 청각장애학교 고등부 교사의 수화언어 정확도, 표현 특징 및 질의응답 분석
- 증거기반교수의 개념과 연구적 타당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 증거기반 중재 구축을 위한 초등수학 중재연구의 질 분석
- 초등학교 입학에 대한 장애아동 학부모의 인식조사
- 특수학교 전공과 장애학생의 교육실태 및 지원 요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Enhancing Learners’ Convergence Competency through VR Design-Based STEAM Education
- In-Context Learning을 통한 서·논술형 평가에서의 대형 언어 모델과 교사 간 채점 및 피드백 정합성 향상 방안
-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Beliefs about Intelligence, Goal Orientation, and Cognitive Task Engagemen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