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ADHD 아동의 또래관계 특성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An Exploration on the Peer Relationship of Children with ADHD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이후희 황순영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9권 제3호, 315~34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ADHD 아동의 자연적 발화를 통하여 발화 속에서 나타나는 ADHD 아동의 또래관계 특징이 어떠한지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초등학교 3~6학년 5명의 ADHD 아동들의 학교에서 쉬는 시간에 발화하는 것을 녹음하고 관찰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 절차에 따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서 ADHD 아동과 또래와의 발화 횟수 및 발화 소통 방향을 분석하고 시각화 그림을 통해 발화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ADHD 아동의 발화 특성에 따른 또래관계를 살펴보면, 노드들의 방향성에서 눈에 띄는 점은 ADHD 아동과 또래들의 발화 네트워크가 양방향이 아닌 한 방향으로 나타난 노드들이 많이 나타난 것이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ADHD 아동의 학교적응 나아가 사회적 관계에 있어서 긍정적인 변화를 도모할 수 있는 실천적 프로그램의 구안과 적용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mpathy patterns of children with ADHD through the analysis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For this purpose, five ADHD children in third to sixth grade were recorded and observed during the breaks at school. Based on the data selection procedure, the major concepts were derived, and the attributes and centrality of the entire network were analyzed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Results: The peer relationships of children with ADHD were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nodes of the children with ADHD and their peers were not bidirectional, and there were many nodes in one direction.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meaningful that the suggestion of the practical program and the application direction of the children with ADHD to make a positive change in school adaptation and social relations in the future was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각장애학생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과 홀랜드 직업흥미 유형과의 관계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ADHD 아동의 또래관계 특성 탐색
- 장애자녀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가족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발달장애유아를 위한 어린이집․유치원 교사들의 긍정적 행동지원 적용 실태
- 단순언어장애 유아의 사회성 특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주요 영향 요인
- 한 교사의 청각장애학교에서 시각장애학교로 전보 후 적응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 중증장애학생의 지역사회 통합과 생존을 위한 기능적 어휘 목록 개발
- 특수학교 교사의 발달장애학생 여가교육에 대한 경험 및 인식
- Effects of Using POV-EC to Teach Basic Cooking Skills for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on Their Independent Task Performance
-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 부모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의 양육 효능감과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자폐 범주성 장애 청소년 및 성인을 위한 직업기술 중재 연구의 연구동향 및 질적 분석
- 특수교육 재정 지원에 대한 교직원들의 인식과 만족도
- 특수학급 교사의 ICT 및 온라인 교사 커뮤니티 활용 실제 분석
- 시각장애아동과 정안아동의 리듬 수행력과 작업 기억력에 대한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국의 인공지능(AI) 인재 육성 정책과 그 효과분석: 스미스의 정책실행모델을 적용하여
- 한국 대학생들의 역량은 교육과정을 통해 어떻게 개발되고 있는가
- 국가 교육과정 개정에서의 ‘교사 참여’ 양상 탐색: 핀란드 사례가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