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How are the competencies of Korean college students being developed through the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오주희(Ju-Hui Oh) 김수영(Su-Yeong Kim)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제35권 제4호, 97~130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 고등교육에서 운영 중인 역량 기반 교육과정이 대학생들의 핵심역량 개발에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체계적 문헌분석과 다중사례연구를 병행하였으며, 역량 기반 교육과정을 체계적으로 운영 중인 국립대와 사립대 각각 2개교씩 총 4개 대학의 체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 개념의 정의와 분류가 불명확하여 교수자와 학생 모두 혼란을 겪고 있다. 둘째, 많은 대학이 평가 지표에 맞춘 형식적 설계에 머무르고 있다. 셋째, 역량 진단은 자기보고식에 의존하여 환류와 실질적 수업 변화에 한계가 있다. 넷째, 교수자의 자율성과 주체성이 제도적 맥락으로 인해 약화되고 있으며, 그 결과 실질적인 교육 실천으로의 전환이 어렵다.
(결론)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 한국 고등교육에서 역량 기반 교육과정이 실질적인 교육 혁신의 촉매제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형식적 운영을 탈피하고, 각 대학의 고유한 인재상에 기반한 명확한 역량 정의와 교육과정 설계가 필요하다. 또한 백워드 설계와 성취기반 평가의 도입, 교수자의 인식 제고 및 전문성 강화를 위한 체계적 지원이 병행되어야 하며, 평가 결과의 정교한 환류 체계를 통해 교육의 질 관리가 지속 가능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competency-based curricula in Korean higher education contribute to students' core competency development, critically examine associated problems, and propose improvements.
[Methods]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employed a combination of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ultiple case studies. Specifically, Four universities—two national and two private—that systematically operate competency-based curricula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their curriculum systems.
[Result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mbiguous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the concept of competency lead to confusion for both faculty and students. Second, many universities remain at a formal design stage, merely aligning with evaluation indicators. Third, competency diagnosis relies on self-report methods, which limits feedback and substantive changes in classes. Fourth, the autonomy and proactivity of professors are weakened due to institutional constraints, making it difficult to translate competency-based education into practice.
[Conclusion] To overcome these issues and enable competency-based curricula to truly act as a catalyst for educational innovation in Korean higher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move beyond formalistic practices. This includes clearly defining competencies based on each university’s unique educational vision, designing curricula aligned with those competencies. Additionally, the introduction of backward design and achievement-based assessment, systematic support for enhancing faculty awareness and professionalism, and a sophisticated feedback system for evaluation results are required to ensure continuous quality management of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대학의 핵심역량 체계 분석 결과: 사례 대학을 중심으로
Ⅴ. 역량 기반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을 위한 문제 및 개선 방향
Ⅵ.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