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 교사의 청각장애학교에서 시각장애학교로 전보 후 적응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Narrative Study on a Teacher's Experiences after transference from School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to School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최성규 장효민 김혜진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9권 제3호, 159~18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내러티브 연구는 장애영역이 서로 다른 학교로의 전보 후 심리적 부담감을 가진 상황에 놓여 있는 한 교사에 대한 적응 경험에서 나타나는 감정, 태도, 삶의 변화 등의 가치를 발견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한 개인의 사례를 구술사적인 접근을 통하여 원인적 요소인 ‘전보’와 결과적 요소인 ‘개인의 적응경험’을 바탕으로 1단계 현장 접근, 2단계 현장 텍스트, 3단계 연구 텍스트의 순서대로 나누어 1년간 실시하였다. 또한 타당성을 높이기 위하여 연구자를 2인으로 구성하고 면담, 수업참관, 동료검토 등을 통하여 자료수집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보 후 심리적 부담감을 받고 있는 어려운 상황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인 의사소통 태도 능력을 가지고 수업과 타인에 대한 이해와 공감, 자기관리를 통해 깨달음을 얻는다. 둘째, 문제해결능력의 증진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상반되거나 특별한 경험들을 활용하여 실천하는 삶을 추구한다. 셋째, 높은 자기 효능감으로 도전적 과제를 선택, 헌신적 상호작용하여 미래교육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도전을 추구한다. 결론: 전보 후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해법은 마음의 소리에 귀 기울이고 배려와 존중에 기초한 환경과의 의사소통이다. 복잡하게 얽혀 있는 상황적 요소를 딛고 경험 속에서 정체성을 잃지 않으며 반성하는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융합교육으로 본인의 교육적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헌신적인 자세로 상호작용하며 주변과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통하여 새로운 목표에 도전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the a teacher's values in emotion, attitudes, and change of life after transference from school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to school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Method: The transference was cause fact and the individual's experiences for adaptation was effect fact. This procedure of this study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such as approach, text, and research. To insure validity of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wo researcher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teacher had enthusiasm toward teaching, understanding to other teachers, and self-management with positive communication attitudes regardless of the psychological anxiety; (b) the teacher had practical life to improve the problem solution abilities; and (c) the teacher had volunteer spirit with self-efficacy based on successful experiences. Conclusion: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past experiences in a school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were helpful to seek new idea to teach in school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s well the teachers’ self-reflection was an important factor to adapt the environment in the school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절차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각장애학생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과 홀랜드 직업흥미 유형과의 관계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ADHD 아동의 또래관계 특성 탐색
- 장애자녀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가족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발달장애유아를 위한 어린이집․유치원 교사들의 긍정적 행동지원 적용 실태
- 단순언어장애 유아의 사회성 특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주요 영향 요인
- 한 교사의 청각장애학교에서 시각장애학교로 전보 후 적응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 중증장애학생의 지역사회 통합과 생존을 위한 기능적 어휘 목록 개발
- 특수학교 교사의 발달장애학생 여가교육에 대한 경험 및 인식
- Effects of Using POV-EC to Teach Basic Cooking Skills for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on Their Independent Task Performance
-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 부모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의 양육 효능감과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자폐 범주성 장애 청소년 및 성인을 위한 직업기술 중재 연구의 연구동향 및 질적 분석
- 특수교육 재정 지원에 대한 교직원들의 인식과 만족도
- 특수학급 교사의 ICT 및 온라인 교사 커뮤니티 활용 실제 분석
- 시각장애아동과 정안아동의 리듬 수행력과 작업 기억력에 대한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수학 예비교사의 AIDT에 대한 기대와 활용
- 예비교사의 ‘설계-실행-재설계’ 과정에 기반한 교사 설계 역량 프레임워크의 정교화
- 대규모 수학 평가 문항에서의 인지·행동 영역 분류와 교사의 이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