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수교육 재정 지원에 대한 교직원들의 인식과 만족도

이용수  0

영문명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Educational Personnel on Financial Support for Special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박선아 이상로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9권 제3호, 187~209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9.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교직원들의 특수교육 재정 지원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특수학교 인식 14문항, 특수학급 인식 10문항, 그리고 만족도 13문항으로 총 37문항의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경상남도 지역의 특수학교, 초·중학교의 특수교사와 지방교육행정공무원에게 총 217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그 중 191명(88.0%)이 응답하였고 불성실한 답변을 제외한 184명(84.8%)의 수집된 자료를 통계프로그램 SPSS 23.0을 활용하여 처리 하였다. 특수교육 재정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만족도는 기술통계를 사용하였고, 특수교사와 지방교육행정공무원 간의 인식과 만족도 차이는 독립표준 t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특수학교와 특수학급 교직원들 간의 특수교육 재정 지원에 대한 만족도 차이는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학교 교직원들은 특수교육 재정 지원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인식측면은 전체와 예산편성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만족도측면은 시설지원, 교육활동 운영비, 관련 서비스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특수학급 교직원들은 특수교육 재정 지원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인식측면은 예산 집행 시 자율성·투명성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만족도측면은 전체, 재정지원 상태, 수요자 만족도, 교육활동 운영비, 관련 서비스, 시기 적절성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특수학교와 특수학급 교직원들 간의 만족도는 재정지원 상태, 수요자 만족도, 교육활동 운영비, 관련 서비스, 시기 적절성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특수학교와 특수학급 교직원들의 특수교육 재정 지원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는 비교적 긍정적이었지만 교직원들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특수교육 재정 지원에 대한 교직원들 간의 인식과 만족도 차이를 줄이기 위한 특수교육 예산 편성, 운영, 집행에 실무자들의 적극적 참여 유도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differences in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educational personnel on financial support for special education. Method: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37 question items: 14 related to perception of special school, 10 related to perception of special classes, and 13 related to satisfaction. Finally, 184 copies (84.8%)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using SPSS 23.0. Results: First, the educational personnel of special school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budget preparation in perception, and facility support, educational activity expense, relevant service areas in satisfaction. Second, the educational personnel of special class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utonomy and transparency in perception. Third,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was found in financial support status, user satisfaction, educational activity expense, relevant service, and timeliness. Conclusion: In order to narrow the disparity in perception of and satisfaction among educational personnel, it is necessary to actively involve practitioners in budget preparation, management, and execution for special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선아,이상로. (2017).특수교육 재정 지원에 대한 교직원들의 인식과 만족도. 특수아동교육연구, 19 (3), 187-209

MLA

박선아,이상로. "특수교육 재정 지원에 대한 교직원들의 인식과 만족도." 특수아동교육연구, 19.3(2017): 187-2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