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가 교육과정 개정에서의 ‘교사 참여’ 양상 탐색: 핀란드 사례가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eacher Participation Patterns in National Curriculum Reform: Focusing on Implications of the Finnish Case for Korea
발행기관
한국비교교육학회
저자명
최미영(Miyeong Choi) 이요셉(Joseph Lee) 공미선(Misun Kong) 김종훈(Jonghun Kim)
간행물 정보
『비교교육연구』제35권 제4호, 67~9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핀란드 국가 교육과정 개정 절차에서 나타난 교사 참여의 양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이를 한국의 교육과정 개정 과정과 비교함으로써 교사 참여의 이론적 기반과 실천적 메커니즘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연구방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글은 교육과정 의사결정의 분권화, 교사 행위주체성, 정책 네트워크 이론이라는 세 가지 이론적 접근을 분석 틀로 설정하고, 핀란드 2014년 교육과정 개정과 한국 2022년 교육과정 개정 사례를 비교·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체계적 문헌 분석을 통해 두 국가의 교사 참여 양상을 구조적, 주체적, 관계적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핀란드는 교사를 교육과정의 '공동 개발자'로 인식하여 300여 명의 교사가 30개 워킹그룹에 참여하는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참여 체계를 구축하고 있었다. 둘째, 한국은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개정 과정에서 교육과정현장네트워크를 통해 약 8천 명의 교사가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의견을 개진하는 등 양적 확대를 이루었으나, 참여가 특정 시점에 집중되고 후속 과정에서의 지속성이 부족한 점을 확인하였다. 셋째, 핀란드는 상향식 접근과 투명한 소통 체계를 통해 교사 행위주체성과 분권화를 실현한 반면, 한국은 여전히 중앙집중적인 접근 방식이 남아 있으며,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거버넌스 간 소통 체계가 아직은 불분명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한국 교육과정 개정에서 교사 참여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를 전문적 개발자로 인식하는 패러다임 전환, 참여의 지속성과 체계성 강화, 다기관 간 소통과 조정 체계 명확화, 피드백과 환류 체계 강화, 제도적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교사의 전문성을 존중하고 활용하는 민주적이고 참여적인 교육과정 개발 문화의 조성이 가능하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seeks to systematically analyze teacher participation patterns in Finland's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process and contrast them with Korea's approach, with the goal of achieving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theoretical foundations and practical mechanisms underlying teacher participation. [Method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established three theoretical approaches as analytical frameworks: decentralization of curriculum decision-making, teacher agency, and policy network theory, and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Finland's 2014 curriculum revision and Korea's 2022 curriculum revision cases. Specifically,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analysis, teacher participation patterns in both countries were analyzed from structural, agential, and relational dimensions. [Result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nland recognized teachers as 'co-developers' of the curriculum and established a continuous and systematic participation system where approximately 300 teachers participated in 30 working groups. Second, Korea achieved quantitative expansion with about 8,000 teachers participating through the Curriculum Field Network, but participation was concentrated at specific points in time and lacked continuity in subsequent processes. Third, while Finland realized teacher agency and decentralization through bottom-up approaches and transparent communication systems, Korea was dominated by top-down approaches with unclear communication systems among multiple institutions. [Conclusion]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eacher participation in Korea's curriculum reform, it is necessary to shift the paradigm to recognize teachers as professional developers, strengthen the continuity and systematicity of participation, clarify communication and coordination systems among multiple institutions, strengthen feedback and reflection systems, and expand institutional support. Through these measures, it will be possible to create a democratic and participatory curriculum development culture that respects and utilizes teachers' expertis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핀란드 국가 교육과정 절차에의 교사 참여
Ⅳ. 한국 2022 개정 교육과정 개발에서의 교사 참여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미영(Miyeong Choi),이요셉(Joseph Lee),공미선(Misun Kong),김종훈(Jonghun Kim). (2025).국가 교육과정 개정에서의 ‘교사 참여’ 양상 탐색: 핀란드 사례가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35 (4), 67-96

MLA

최미영(Miyeong Choi),이요셉(Joseph Lee),공미선(Misun Kong),김종훈(Jonghun Kim). "국가 교육과정 개정에서의 ‘교사 참여’ 양상 탐색: 핀란드 사례가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35.4(2025): 67-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