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폐 범주성 장애 청소년 및 성인을 위한 직업기술 중재 연구의 연구동향 및 질적 분석
이용수 3
- 영문명
- A Systematic Review of Single Subject Design Research on Vocational Interventions for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서민경 김유리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9권 제3호, 263~29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자폐 범주성 장애 청소년이 성인기로 전환하는 시기에 실행하고 있는 직업관련 중재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연구목적: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6년까지 발표된 자폐 범주성 장애 청소년 및 성인을 위한 직업기술 중재 연구의 동향을 알아보고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구성한 질적지표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EBSCOhost, PsycINFO, ERIC, DBPIA, KISS, RISS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고, 선행연구의 참고문헌을 참고하여 21편의 단일대상연구를 선정하였고, 참여자 특성, 연구 방법, 중재내용, 목표기술, 결과로 구성한 분석틀과 특수교육 분야의 증거기반 실제를 위한 질적지표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총 21편 중에서 14편의 연구가 중다기초선설계를 사용하였고, 연구 참여자로는 고등학생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중재유형에서는 비디오 모델링과 음성 촉진을 사용한 컴퓨터 보조 교수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목표기술로는 사무직 기술, 요리기술, 관리 및 청소기술, 배달 기술, 제조 기술 등의 순으로 다양한 영역에 걸쳐 사용되었다. 특수교육 분야의 증거기반 실제를 위한 CEC 지표를 모두 만족하는 논문은 없었다. 결론: 직업중재의 결과로 참여자들의 목표행동을 수행하는 정확도가 높아지고, 독립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비율이 증가하였다. 국내외 직업 기술을 중재한 21편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주제와 관련 연구 활성화 등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As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transition to adulthood, there is very little evidence and specific information available for vocational intervention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was to analyze vocational intervention for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with ASD. Method: This study reviewed vocational interventions for individuals with ASD that have been published abroad and domestically from 2000 to 2016. Authors assessed 21 single-subject studies against inclusion/exclusion criteria and analyzed data regarding participant characteristics, research design, intervention settings, intervention types, and outcomes, and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CEC) standards of evidence-based practices. Results: Vocational studies are increased from since 2000 and most studies published after 2005. Among 21 studies, 14 studies used a multiple-baseline design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popular participants in studies compared to the numbers of young adults and middle students. The most studied intervention types were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that include video modeling and audio prompts. Vocational interventions were used to improve clerical skills, cooking skills, cleaning, operating skills, delivery skills, manufacturing skills. There was no study met CEC standards. Conclusion: Twenty-on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assess vocational interventions for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with ASD. Each study showed that vocational interventions were effective in increasing accuracy of work performance, work efficiency, and independence. Based on these results future research direction and recommendation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각장애학생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과 홀랜드 직업흥미 유형과의 관계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ADHD 아동의 또래관계 특성 탐색
- 장애자녀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가족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발달장애유아를 위한 어린이집․유치원 교사들의 긍정적 행동지원 적용 실태
- 단순언어장애 유아의 사회성 특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주요 영향 요인
- 한 교사의 청각장애학교에서 시각장애학교로 전보 후 적응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 중증장애학생의 지역사회 통합과 생존을 위한 기능적 어휘 목록 개발
- 특수학교 교사의 발달장애학생 여가교육에 대한 경험 및 인식
- Effects of Using POV-EC to Teach Basic Cooking Skills for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on Their Independent Task Performance
-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 부모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의 양육 효능감과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자폐 범주성 장애 청소년 및 성인을 위한 직업기술 중재 연구의 연구동향 및 질적 분석
- 특수교육 재정 지원에 대한 교직원들의 인식과 만족도
- 특수학급 교사의 ICT 및 온라인 교사 커뮤니티 활용 실제 분석
- 시각장애아동과 정안아동의 리듬 수행력과 작업 기억력에 대한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수학 예비교사의 AIDT에 대한 기대와 활용
- 예비교사의 ‘설계-실행-재설계’ 과정에 기반한 교사 설계 역량 프레임워크의 정교화
- 대규모 수학 평가 문항에서의 인지·행동 영역 분류와 교사의 이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