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각장애아동과 정안아동의 리듬 수행력과 작업 기억력에 대한 비교
이용수 0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f Rhythm Performance Capabilities and Working Memory between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and Those with Normal Vis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박혜영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9권 제3호, 141~15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시각장애아동과 정안아동의 리듬 수행력과 작업 기억을 비교하고, 리듬 수행력과 작업 기억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초등학교 4-6학년 총 68명(시각장애아동 31명, 정안아동 37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자가탭핑검사를 통해 두 집단의 리듬 동조화 능력에 차이가 없음을 확인 한 후, 리듬 수행 과제와 작업 기억 과제를 시행하였다. 리듬 수행 과제는 총 20문항으로 1단계(10문항)에서는 리듬 산출의 정확도(accuracy)를 측정하고, 2단계(10문항)에서는 그룹핑(grouping) 능력을 확인하였다. 작업 기억 과제는 숫자폭 검사(DST)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숫자바로따라말하기(DSF)와 숫자거꾸로따라말하기(DSB)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리듬 수행 과제 총점은 시각장애아동이 유의하게 높았다. 정확도는 정안아동이 다소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그룹핑은 시각장애아동이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작업 기억 과제인 DST에서는 DSF와 DSB 모두 시각장애아동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두 집단 모두 리듬 수행력과 작업 기억 간의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특히 리듬 산출의 그룹핑과 DSB 항목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시각장애아동의 리듬 수행력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리듬 수행력과 작업 기억 간의 관련성을 면밀히 분석하였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o compare rhythmic performances and working memory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two measurements of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VI) and those with normal vision (NV). Method: 68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tween the 4th and 6th grades (31 VI and 37 NV) participated in the study. After verifying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hythmic synchronization abilities between the two groups through a self-paced tapping evaluation, they were given assignments to measure their rhythmic performances and working memory of their tasks. The rhythmic performance task comprised of 20 questions, with the first 10 questions gauging the accuracy of rhythm reproduction, while the latter 10 questions measured their grouping ability. A digit span test was used to evaluate working memory, including DSF and DSB. Results: First, VI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hythm performance and grouping tests. NV were better in accuracy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VI also performed better in working memory, from the results of the digit span test in both DSF and DSB. Finally, both groups demonstrated th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rhythm performance and working memory. Conclusion: The study is meaningful in deeply understanding the rhythm performance capability of VI as well as in analyz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rhythm performance capabilities and the working memory of both group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각장애학생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과 홀랜드 직업흥미 유형과의 관계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ADHD 아동의 또래관계 특성 탐색
- 장애자녀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가족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발달장애유아를 위한 어린이집․유치원 교사들의 긍정적 행동지원 적용 실태
- 단순언어장애 유아의 사회성 특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주요 영향 요인
- 한 교사의 청각장애학교에서 시각장애학교로 전보 후 적응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 중증장애학생의 지역사회 통합과 생존을 위한 기능적 어휘 목록 개발
- 특수학교 교사의 발달장애학생 여가교육에 대한 경험 및 인식
- Effects of Using POV-EC to Teach Basic Cooking Skills for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on Their Independent Task Performance
-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 부모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의 양육 효능감과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자폐 범주성 장애 청소년 및 성인을 위한 직업기술 중재 연구의 연구동향 및 질적 분석
- 특수교육 재정 지원에 대한 교직원들의 인식과 만족도
- 특수학급 교사의 ICT 및 온라인 교사 커뮤니티 활용 실제 분석
- 시각장애아동과 정안아동의 리듬 수행력과 작업 기억력에 대한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국의 인공지능(AI) 인재 육성 정책과 그 효과분석: 스미스의 정책실행모델을 적용하여
- 한국 대학생들의 역량은 교육과정을 통해 어떻게 개발되고 있는가
- 국가 교육과정 개정에서의 ‘교사 참여’ 양상 탐색: 핀란드 사례가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