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발달장애유아를 위한 어린이집․유치원 교사들의 긍정적 행동지원 적용 실태
이용수 2
- 영문명
- Actual Application Condition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in Preschool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cused on Preschool-wide Evaluation Tool(PreSET)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정지영 최진혁 김대용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9권 제3호, 211~23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PreSET 질적지표를 바탕으로 유아교사의 발달장애유아에 대한 긍정적 행동지원 적용실태를 알아보고 교사변인에 따른 긍정적 행동지원 적용실태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부산과 경북 지역의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67부의 설문지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결과는 t/f검증과 Duncan사후검증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유아교사들은‘조직적이고 예측 가능한 환경’에서 가장 높은 적용실태를 보이고 있었으나 대체적으로 긍정적 행동지원 전략들을 보통 수준으로 현장에서 실천하고 있었다. 이러한 적용실태는 소속기관, 학력, 연령, 자격증, 경력, 연수경험 등 유아 교사의 변인별로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다. ‘기대행동정의’에서는 소속기관, 경력에 따라 적용실태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기대행동 교수’에서는 학력, 연령, 경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적절한 행동과 문제행동에 대한 반응’에서는 소속기관, 학력, 경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조직적이고 예측가능한 환경’에서는 소속기관, 학력, 연령, 경력에서 다르게 나타났다. ‘가족참여’에서는 자격증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의 차이가 없었으며 ‘점검 및 의사결정’에서는 모든 변인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관리’에서는 소속기관, 학력, 자격증에서 다르게 나타났으며 ‘지원’에서는 소속기관, 연령, 경력에서 다르게 나타났다. 결론: 끝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한 논의와 함께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ctual conditions of preschool teachers applying Positive Behavior Support to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and differences in the actual conditions of applying Positive Behavior Support according to the teacher variables based on PreSET qualitative indicators. Method: For this investigation, the surveys were implemented on preschool teachers from Busan and Gyeongbuk regions, together with the analysis based on 167 surveys. The comparison and analysis was also conducted on the collected results using t/f verification and Duncan post verifi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Results: Preschool teachers practiced Positive Behavior Support strategies at normal levels on site. The highest execution was appeared in the 'organizational and predictable environment'. This execution level showed slight differences by variable. (institution, education, age, licenses, work experience, and training experience). Excluding 'inspection and decision making', all category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teacher variables. 'Behavior Expectation' displayed differences in actual conditions of applying Positive Behavior Support according to institution and work experience. 'Expected behaviour instruction' showed differences in actual conditions of applying Positive Behavior Support according to education, age, and work experience. 'Appropriate behavior and problematic response' exhibited differences in actual conditions of applying Positive Behavior Support according to institution, age, and work experience. 'Organizational and predictable environment' showed differences in institution, education, age, and work experience. 'Family participation' displayed no differences in all variable, excluding licenses. 'Management' exhibited difference in actual conditions of applying Positive Behavior Support in institution, education and licenses. 'Support' displayed differences in actual conditions of applying Positive Behavior Support in institution, age, and work experienc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up research and more detailed discussion was presented in this stud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각장애학생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과 홀랜드 직업흥미 유형과의 관계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ADHD 아동의 또래관계 특성 탐색
- 장애자녀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가족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발달장애유아를 위한 어린이집․유치원 교사들의 긍정적 행동지원 적용 실태
- 단순언어장애 유아의 사회성 특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주요 영향 요인
- 한 교사의 청각장애학교에서 시각장애학교로 전보 후 적응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 중증장애학생의 지역사회 통합과 생존을 위한 기능적 어휘 목록 개발
- 특수학교 교사의 발달장애학생 여가교육에 대한 경험 및 인식
- Effects of Using POV-EC to Teach Basic Cooking Skills for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on Their Independent Task Performance
-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 부모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의 양육 효능감과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자폐 범주성 장애 청소년 및 성인을 위한 직업기술 중재 연구의 연구동향 및 질적 분석
- 특수교육 재정 지원에 대한 교직원들의 인식과 만족도
- 특수학급 교사의 ICT 및 온라인 교사 커뮤니티 활용 실제 분석
- 시각장애아동과 정안아동의 리듬 수행력과 작업 기억력에 대한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수학 예비교사의 AIDT에 대한 기대와 활용
- 예비교사의 ‘설계-실행-재설계’ 과정에 기반한 교사 설계 역량 프레임워크의 정교화
- 대규모 수학 평가 문항에서의 인지·행동 영역 분류와 교사의 이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