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읽기 유창성 중재에 관한 단일대상연구 문헌 연구

이용수  2

영문명
A Literature Review of Single-subject Studies on Reading Fluency Intervention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김자경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23권 제4호, 51~7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읽기에 어려움을 가진 학생을 대상으로 읽기 유창성 관련 중재를 적용한 국내 단일대상연구의 문헌 리뷰를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2000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총 33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중재의 특징은 연구대상, 발행기간, 연구방법(연구설계 유형, 중재회기 수, 측정도구), 중재 유형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PND값을 산출하여 효과크기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읽기 유창성 관련 중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지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11편으로 가장 많았다. 그다음으로 학습부진과 학습장애(난독증, 위험군 포함) 대상 연구가 각각 8편이었다. 이외에도 다문화 학생, 경계선지능, ADHD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소수 발표되었다. 연구대상의 연령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2/3에 달하였다. 분석 논문 중 21편(64%)은 2개 이상의 읽기 영역에 대해 다중중재전략을 사용하였다. 또한 단일중재연구 2편과 다중중재논문 19편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반복읽기 중재를 포함하였으며, 그 효과가 대부분의 연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읽기 유창성 관련 증거기반 중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며,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literatures of a single-subject study in Korea that applied an intervention related to reading fluency for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Method: 33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2000 to 2020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vent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ubject, publication period, research method, and intervention type, and the effect size was examined with the PND value. Result: The intervention studies related to reading fluency were on the rise, and most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o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11 studies). 8 studies were conducted on learning difficulties and learning disabilities (including dyslexia and at-risk groups), respectively. In addition, a small number of studies targeting multi-cultural students,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and students with ADHD have been published. 25 studies were conduct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21 studies used multiple teaching strategies for two or more reading areas. In addition, 2 single intervention studies and 19 multiple intervention studies included various types of repeated reading interventions, and the effectiveness was high in most studie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evidence-based interventions related to reading fluency were provid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mad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자경. (2021).읽기 유창성 중재에 관한 단일대상연구 문헌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23 (4), 51-75

MLA

김자경. "읽기 유창성 중재에 관한 단일대상연구 문헌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23.4(2021): 51-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