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위치기반 스마트 교육이 장애학생의 읽기, 쓰기 및 지역사회 적응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location-based smart education on improving reading, writing, and community adaptabilit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최현석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3권 제4호, 167~18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위치기반 스마트 교육(LBSSE)을 실시하기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의 방향을 마련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한 결과 장애 학생의 읽기 및 쓰기, 그리고 지역사회 적응능력에 대한 변화 양상을 양적으로 탐구하였다. 연구방법: 대구시에 소재한 두 개의 특수학교 전공과에 소속되어 있는 실험집단 31명과 통제집단 29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후검사로 비교하였다. 실험연구에 사용된 검사 도구는 KISE-BAAT(읽기, 쓰기) 검사 도구와 적응검사도구(CISA-2)를 대상 학생들의 수준에 적합하게 수정하였다. 읽기 능력과 쓰기 능력 각각 15문항, 그리고 기호, 표지, 지역사회서비스 및 시간 관련 20개의 문항을 개발하여 학생들의 사회적 기능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LBSSE 교육이 장애 학생들의 읽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LBSSE 교육이 장애 학생들의 쓰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LBSSE 교육이 장애 학생들의 지역사회 적응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LBSSE가 장애학생들의 읽기, 쓰기 및 지역사회 적응능력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에 대하여 제안하고 있다.
영문 초록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direction of re-establishing the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purpose of implementing location-based intelligence education (LBSSE) and apply it to the teaching, so as to explore quantitatively the various forms in which students with disabilities define social adaptability and communication capabilities in the region. Method: The students in two special schools in Daegu were examined before and after the incident, and 60 students were counted. The testing tools used in experimental research were KISE-BAAT and Adaptive Testing (CISA-2). The testing tools will correction and development at the student level. The study developed symbols, signs, community service and time related 20 questions on each of the 15 topics of reading ability and writing ability, and evaluated students' social functions. Results: First, LBSSE education ha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reading abilit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cond, LBSSE education ha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students' writing ability. Third, LBSSE education has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community adaptability.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location-based intelligence education (LBSSE) has an impact on the functioning and use of the communit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위치기반 스마트 교육이 장애학생의 읽기, 쓰기 및 지역사회 적응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장애인 교원 임용확대 및 지원을 위한 방안 제고
- 지역사회 내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질 제고를 위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지원센터 역할 및 운영 방안 연구
- 중도중복장애 아동의 실태파악 어려움과 대처 방법
-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잠재계층 유형과 만족도 관계
- 비대면 문장 따라 말하기에 나타난 3∼5세 아동의 구문 능력
- 고등학교, 전공과 발달장애학생의 전환교육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
- 기본교육과정 교과서의 질 관리를 위한 사용성 평가 및 환류 체제 제안
- 장애인이 인식한 가족건강성 유형과 영향요인 연구
- 읽기 유창성 중재에 관한 단일대상연구 문헌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