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인 교원 임용확대 및 지원을 위한 방안 제고
이용수 0
- 영문명
- Rethinking Ways to Promote the Work Adjustment of Teachers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고혜정 김병건 박유정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3권 제4호, 141~16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장애인 교원 양성 기회 및 임용기회 확대를 위한 법적·제도적 마련에도 불구하고 그 실효성 및 구체적 적용 방향은 미흡하다고 평가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심도 깊은 연구의 필요성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인 교원에 대한 연구가 어떤 주제 및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지원방안을 제시할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장애를 가진 교원에 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장애교원 관련 학술논문 30편을 분석하였다. 첫째, 장애인 교원 연구의 년도별, 학술지별 게재현황 분석. 둘째, 장애인 교원 관련 연구들의 연구대상 분석. 셋째, 장애교원 관련 연구의 연구방법 분석. 넷째, 장애교원 관련 연구의 주제에 대한 심측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 교원 관련 연구의 년도별 게재현황은 미비한 수준이며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학술지는 시각장애연구였다. 연구대상은 장애인 교원 당사자에 관한 연구, 시각장애교원, 중등교원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장애인 교원 관련 주제별 동향을 살펴보면 장애교원의 재직 중 겪는 교직적응상의 어려움과 개선방안을 주로 다루고 있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교원관련 연구는 장애교원의 양성단계부터, 임용 및 배치, 재직단계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서 활발히 시행되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각 단계별로 필요한 구체적인 지원이 제공되어야함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In spite of legal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for increased training opportunities and employment of teachers with disabilities, their effectiveness and specific applications are often judged to be insufficient. Therefore, the needs for in-depth research to solve this problem are growing.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examining what topics and methods were adopted in studies on teachers with disabilities and providing fundamental data drawn from the examination that suggested practical supports plans. Method: This study analyzed 30 academic studies related to teachers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examine research trends on teachers with disabilities. First, the studies related to teachers with disabilit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publication status by year and journal. Second, the stud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research subjects. Third, the stud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Fourth, in-depth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topic of each study related to teachers with disabilities.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publication status of studies related to teachers with disabilities by year was insignificant and that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was the journal that published the majority of studies. As for research subjects, a lot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on teachers with disabilities, visually impaired teachers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terms of the trend by topic, the studies related to teachers with disabilities mainly addressed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eachers with disabilities in adapting to the teaching profession during their service and improvement measures thereof.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research on teachers with disabilities needed to be conducted vigorously on the entire career of teachers with disabilities, from the training stage to appointment and placement, and in-service stage, and that specific support should be provided at each stage.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dea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위치기반 스마트 교육이 장애학생의 읽기, 쓰기 및 지역사회 적응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장애인 교원 임용확대 및 지원을 위한 방안 제고
- 지역사회 내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질 제고를 위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지원센터 역할 및 운영 방안 연구
- 중도중복장애 아동의 실태파악 어려움과 대처 방법
-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잠재계층 유형과 만족도 관계
- 비대면 문장 따라 말하기에 나타난 3∼5세 아동의 구문 능력
- 고등학교, 전공과 발달장애학생의 전환교육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
- 기본교육과정 교과서의 질 관리를 위한 사용성 평가 및 환류 체제 제안
- 장애인이 인식한 가족건강성 유형과 영향요인 연구
- 읽기 유창성 중재에 관한 단일대상연구 문헌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