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본교육과정 교과서의 질 관리를 위한 사용성 평가 및 환류 체제 제안
이용수 0
- 영문명
- Evaluation of Usability and Proposal of Reflux System for Quality Management of Basic Curriculum Textbook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신서영 박창언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3권 제4호, 189~20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기본교육과정 교과서 질 관리를 위해 사용성을 평가하고 그를 바탕으로 환류 체제를 제안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사용성 평가를 위한 조사 도구는 델파이 전문가 20인를 통해 3차에 거친 의견수렴을 한 결과, 교과서의 사용성은 효과성, 효율성, 심미성, 흥미성, 수정요구사항 5가지로 선정되었으며, 문항의 개수는 리커트 척도형 문항 5개와 개방형 문항 10개로 최종 확정되었다. 이는 기본교육과정 교과서의 일반적인 사용자로서 특수교사가 교과서의 사용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질 관리에 환류하고자 하는 평가의 성격을 고려할 때, 복잡한 요인구조를 가지는 측정도구와 차별화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전제로 도출된 것이다. 연구결과: 설문조사는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최종적으로 유효한 응답지 316개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리커트 척도형 응답은 기술통계분석(빈도분석 및 평균분석)을 실시하였고, 개방형 응답은 언어분석(워드클라우드분석, 언어밀도분석, 언어중심성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사용성의 모든 항목은 평균 4점을 넘지 못하는 보통 수준의 점수를 보였고, 효과성을 중심으로 살펴본 개방형 응답의 경우 서책형 교과서와 전자저작물 각각이 다른 요구사항을 보였다. 또 언어밀도는 0.738로 높은 수준이었으며, 언어의 연결중심성에 있어서 ‘자료’, ‘학생’, ‘내용’ 중심으로 교과서의 효과성을 가장 많이 논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교과서의 질 관리는 사용성 평가 및 환류 체제로 이루어져야 할 것, 사용성 평가를 위한 평가문항은 간단한 리커트 척도형 문항과 개방형 문항을 병행할 것, 마지막으로 교과서의 사용자 평가 환류 체제는 기본교육과정 교과서 플랫폼과 일원화된 통합 플랫폼으로 개발하여 교사들이 제작한 다양한 수준의 관련 온라인 콘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는 기능까지 갖출 것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usability and propose a reflux system based on it for the quality management of basic curriculum textbooks. Method: The survey tool for usability evaluation was developed through the third round of collecting opinions through 20 Delphi experts. The usability of textbooks was selected in five categories: effectiveness, efficiency, aesthetics, interest, and revision requirements, and the number of questions was finally confirmed as 5 Likert scale questions and 10 open questions. This is because any special teacher would like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the textbook and return the results to quality management, so a non-complex question is good. Results: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and 316 valid responses were finally used for the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average analysis) was performed for Likert scale responses, and language analysis (word cloud analysis, language density analysis, and language centrality analysis) were performed for open responses.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all items of usability showed an average score of less than 4 points, and in the case of open responses focusing on effectiveness, book-type textbooks and electronic works showed different requirements. In addition, the language density was high at 0.738, and it was found that the effectiveness of textbooks was discussed centering on 'data', 'student', and 'content' in terms of language connection centrality.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quality management of basic curriculum textbooks should consist of a usability evaluation and reflux system, and that the teachers’ user evaluation feedback system should be developed as an integrated platform.
목차
Ⅰ. 서론
Ⅱ. 사용성의 개념적 이해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위치기반 스마트 교육이 장애학생의 읽기, 쓰기 및 지역사회 적응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장애인 교원 임용확대 및 지원을 위한 방안 제고
- 지역사회 내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질 제고를 위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지원센터 역할 및 운영 방안 연구
- 중도중복장애 아동의 실태파악 어려움과 대처 방법
-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잠재계층 유형과 만족도 관계
- 비대면 문장 따라 말하기에 나타난 3∼5세 아동의 구문 능력
- 고등학교, 전공과 발달장애학생의 전환교육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
- 기본교육과정 교과서의 질 관리를 위한 사용성 평가 및 환류 체제 제안
- 장애인이 인식한 가족건강성 유형과 영향요인 연구
- 읽기 유창성 중재에 관한 단일대상연구 문헌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