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잠재계층 유형과 만족도 관계
이용수 0
- 영문명
- Identification and Prediction of the Latent Classe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주영하 박미진 김기룡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3권 제4호, 119~13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과 가족 간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이용 의향에 따라 구분되는 잠재계층 유형을 확인하고, 각 유형과 발달장애인평생교육시설 이용 만족도 간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이용 의향을 파악하기 위한 문항 등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서울시에 위치한 발달장애인평생교육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발달장애인 222명과 가족 256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잠재계층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발달장애인의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이용 의향 잠재계층 유형은 4개로 분류되었으며, 그 특성에 따라 ‘문해문화예술인문교양중심형’, ‘직업인문교양중심형’, ‘문화예술시민참여중심형’, ‘문해직업문화예술중심형’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발달장애인 가족의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이용 의향 잠재계층 유형은 3개로 분류되었으며, 그 특성에 따라 ‘문화예술중심형’, ‘직업인문교양시민참여탐색형’, ‘문해중심형’으로 명명하였다. 셋째, 발달장애인의 발달장애인평생교육시설 이용 만족도는 ‘문해문화예술인문교양중심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발달장애인과 가족은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이용 의향에서 잠재계층 간 차이가 있었다. 이에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은 발달장애인이 원하는 욕구를 중심으로 맞춤형으로 구성되어야 하고,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이 다차원적으로 개발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latent classes that were distinguished by the intention to us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o identify satisfaction affecting each class, focusing on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Method: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n 222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256 parents who were using the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for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located in Seoul using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questions to understand the intention to use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study performed latent class analysis. Results: First, the analysis identified four latent classe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study were named ‘Literacy Arts Culture-centered type’, ‘Job Culture-centered type’, ‘Arts Citizen-centered type’, and ‘Literacy Job Arts-centered type’. Second, the analysis identified three latent classes of famil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study were named ‘Art-centered type’, ‘Exploration type’, and ‘Literacy-centered type’. Third, the satisfaction level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the highest in 'Literacy Job Arts-centered type'. Conclus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ntention to use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between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should be structured around the need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well,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should be developed and operated in multiple dimension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위치기반 스마트 교육이 장애학생의 읽기, 쓰기 및 지역사회 적응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장애인 교원 임용확대 및 지원을 위한 방안 제고
- 지역사회 내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질 제고를 위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지원센터 역할 및 운영 방안 연구
- 중도중복장애 아동의 실태파악 어려움과 대처 방법
-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잠재계층 유형과 만족도 관계
- 비대면 문장 따라 말하기에 나타난 3∼5세 아동의 구문 능력
- 고등학교, 전공과 발달장애학생의 전환교육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
- 기본교육과정 교과서의 질 관리를 위한 사용성 평가 및 환류 체제 제안
- 장애인이 인식한 가족건강성 유형과 영향요인 연구
- 읽기 유창성 중재에 관한 단일대상연구 문헌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