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등학교, 전공과 발달장애학생의 전환교육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f Trends of Studies on Transition in High Schools and Transition Classroom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cused on Journals Published Year to 2021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장지현 최진혁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3권 제4호, 1~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고등학교, 전공과 발달장애학생의 전환교육에 관한 연구동향을 탐색하여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2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관련 논문 87편을 연도,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현재까지 관련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져 왔으나, 2012년~2016년에 연구가 집중되어 있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연구주제는 ‘영향, 효과, 관계’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대상은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지적장애학생과 고등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넷째, 연구방법은 문헌연구가 가장 많았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고등학교, 전공과 발달장애학생의 전환교육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papers on transition in high schools and transition classroom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ublished in the journal to explore future research tasks and present directions. Method: To this end, 87 related papers in the journasl were analyzed for the last 10 years from 2012 to 2021. These papers were classified by years, research topics, objects of study, and research methods. Results: First, related studies have been steadily conducted from 2012, but had been concentrated in 2012~2016. Second, the most common type of subject was 'impact, effect, relationship'. Third, there were many studies targeting the students. Fourth, the most common type of research methods was the analysis of trends of studies. Conclus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as mentioned the above, the directions of future studies related to transitional education in high schools and transition classroom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위치기반 스마트 교육이 장애학생의 읽기, 쓰기 및 지역사회 적응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장애인 교원 임용확대 및 지원을 위한 방안 제고
- 지역사회 내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질 제고를 위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지원센터 역할 및 운영 방안 연구
- 중도중복장애 아동의 실태파악 어려움과 대처 방법
-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잠재계층 유형과 만족도 관계
- 비대면 문장 따라 말하기에 나타난 3∼5세 아동의 구문 능력
- 고등학교, 전공과 발달장애학생의 전환교육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
- 기본교육과정 교과서의 질 관리를 위한 사용성 평가 및 환류 체제 제안
- 장애인이 인식한 가족건강성 유형과 영향요인 연구
- 읽기 유창성 중재에 관한 단일대상연구 문헌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