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화 반응 교수 관점에서 초등학교 교과서 분석
이용수 3
- 영문명
- An analysis of elementary textbooks from the viewpoint of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김정은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44호, 103~12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0.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Gradually rising the number of foreign workers and international marriages migrants, various forms of multi-cultural families have been created in our society. Especially, this change has been reflected in education situations as it is, so the number of elementary students from multi-cultural households has been on the rise these days. However,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ave difficulties adapting to the schoo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reason is that this educational circumstance has the prejudice of ordinary students, inexperienced teachers, and the curriculum of the meager multicultural contents. School educational classrooms should be required multicultural curriculums and the teacher’s role, which take the respectful and learning attitude without the prejudice against one another. Therefore, it is a task of significance to analyze the reality of carrying out mul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al circumstances demanding mutual respect and interaction with multi racial and culture. This study analyzes the real condi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argeting the elementary school and suggests the adequate contents that are employed in the multicultural circumstances. To do this, this looks through the earlier studies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addition, after studying the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this research establishes the standards of analyzing the date from the viewpoint of the culturally responsive pedagogy. Based on this result, this study analyses the curriculums of the elementary Korean and moral education textbooks. According to this analysis, the fact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ways are proposed.
목차
1. 서론
2. 기존연구 검토
3. 다문화교육을 위한 문화 반응 교수
4. 문화 반응 교수 관점에서 초등학교 교과서 분석
5.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학습자의 서사 담화 유형에 따른 전경․배경의 구분 기준과 그 양상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공손 표현 습득 연구
- Bilingual lexical processing in the Stroop task: Evidence from an fMRI study
- 성(姓)씨로 본 한국어로마자표기 반성
- The Aspectual Deictic Verbs with the Path Verbs in Korean: The Deictic Verbs Provide More Duration to the Path Verbs
- 재외동포 유아 대상 한국어 교육 방안
- 재미 교포 초급 학습자와 비교포 초급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비교
- 초등학교 입학 전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학습도구어 선정 및 교육
-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적 연어 학습 방안
- 영작문 사전쓰기에서의 모국어 사용효과
- 교실에서 학습자 모국어 사용이 학습자의 정의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 문화 반응 교수 관점에서 초등학교 교과서 분석
- 보어 개념의 확장에 대하여
- The study of the L2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on and perception
- TTT 모형을 활용한 추측 표현 교육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