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적 연어 학습 방안
이용수 7
- 영문명
- The Teaching Methods of Lexical Collocations for Japanese Learners of Korean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김선효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44호, 25~4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0.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makes clear the teaching methods to express Korean lexical collocations for Japanese learners of Korean. In the basis of the lists of Korean lexical collocations, these are classified 5 typ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tructures which are translated into Japanese. 1st type has the same structur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2nd type is translated into different nouns and 3rd type different verbs. 4th type has different nouns and verbs both of them, or different syntactic structures. 5th type consists of Korean words that have no in Japanese. For Japanese learners can study Korean lexical collocations efficiently, contrastive linguistics will be useful to them.
목차
1. 서론
2. 연어와 한국어 교육
3. 어휘적 연어와 한․일 대조 분석
5.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학습자의 서사 담화 유형에 따른 전경․배경의 구분 기준과 그 양상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공손 표현 습득 연구
- Bilingual lexical processing in the Stroop task: Evidence from an fMRI study
- 성(姓)씨로 본 한국어로마자표기 반성
- The Aspectual Deictic Verbs with the Path Verbs in Korean: The Deictic Verbs Provide More Duration to the Path Verbs
- 재외동포 유아 대상 한국어 교육 방안
- 재미 교포 초급 학습자와 비교포 초급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비교
- 초등학교 입학 전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학습도구어 선정 및 교육
-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적 연어 학습 방안
- 영작문 사전쓰기에서의 모국어 사용효과
- 교실에서 학습자 모국어 사용이 학습자의 정의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 문화 반응 교수 관점에서 초등학교 교과서 분석
- 보어 개념의 확장에 대하여
- The study of the L2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on and perception
- TTT 모형을 활용한 추측 표현 교육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