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어 개념의 확장에 대하여
이용수 14
- 영문명
- The Criterion of Complements in Korean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김원경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44호, 49~7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0.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efinition and the range of complements in Korean. And it investigates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complement case category, subject case category and obligatory adverb case category in Korean. And it aims to formulate the Case Information Processing of Complement Case. This paper suggests the Cas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onsist of a Morphological Case Information Processing and a Semantic Case Information Processing. And this Cas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pplies to Korean inflectional form: ‘i/ka’, eun/neun. Complement category in Korean has clear characteristics in many ways. From an morphological point of view, it is not easy to distinguish the complement case from subject case. From an semantic point of view, there is not always a clear-cut distinction between the complement case and obligatory adverb case. In this respect, appropriate criterion of complements is required. This criterion facilitates more efficient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makes it possible to keep the ‘One instance per clause principle.’
목차
1. 서론
2. 한국어 보어의 특이성
3. 보어 범주의 설정
4. 주어, 보어, 부사어의 분석
5.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보어의 기준
보격
주격
필수적 부사격
굴절형 ‘이/가’
격 범주
형태격
의미격
자연 언어 처리
격 정보 처리
일문일격의 원리
criterion of complements
complement case
subject case
obligatory adverb case
inflectional form ‘i/ka’
case category
Morphological Case
Semantic Cas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Case Information Processing
One instance per clause principl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학습자의 서사 담화 유형에 따른 전경․배경의 구분 기준과 그 양상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공손 표현 습득 연구
- Bilingual lexical processing in the Stroop task: Evidence from an fMRI study
- 성(姓)씨로 본 한국어로마자표기 반성
- The Aspectual Deictic Verbs with the Path Verbs in Korean: The Deictic Verbs Provide More Duration to the Path Verbs
- 재외동포 유아 대상 한국어 교육 방안
- 재미 교포 초급 학습자와 비교포 초급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비교
- 초등학교 입학 전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학습도구어 선정 및 교육
-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적 연어 학습 방안
- 영작문 사전쓰기에서의 모국어 사용효과
- 교실에서 학습자 모국어 사용이 학습자의 정의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 문화 반응 교수 관점에서 초등학교 교과서 분석
- 보어 개념의 확장에 대하여
- The study of the L2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on and perception
- TTT 모형을 활용한 추측 표현 교육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