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평등 인식에 기초한 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 대화문 분석
이용수 17
- 영문명
- Analysis of Dialogues in Korean textbooks for Married Immigrants Based on Gender Equality: Focusing on Morpheme Analysis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허예인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89호, 367~38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morpheme of the dialogues in Korean textbooks for married immigrants was analyzed and the nouns in the dialogues were examined from the gender perspective. By comparing the dialogues between the pre-revised textbook 『Korean language for Married immigrant』 and the post-revised textbook 『Joyful Korean Language』 and 『Accurate Korean Languag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ositive change between the two textbooks, but there were still parts that needed improvement. The speech ratio of male and female speakers improved, but the speech amount of female speakers still accounted for a large proportion. By analyzing the subject of the dialogue through the overall upper-frequency noun, the subject of the dialogue in the textbook after the revision was diversifie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upper-frequency nouns according to gender, the bias of the conversation topic disappeared. However, the conversation on the subject of 'food' has become more biased than in the past, which can lead to stereotypes about gender roles, so it is suggested that it needs to be carefully reviewed and corrected. In addition, when noun vocabulary with markedness used by male and female speakers was listed in the order of upper-frequency, male speakers used more advanced words than female speakers in both textbooks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This seems to be du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ocial status and role of male and female speakers, and it was suggested that improvement was needed in that unequal perceptions were reflected in the setting of the social roles of male and female speakers.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3. 연구 방법
4. 분석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개념적 은유에 기반한 신문 표제어 교육의 효과 연구
- 조정기에 있는 중국 대학 한국어 교육의 현황 및 전망
- 한국인과 중국인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감사 부담감과 전략 사용 차이 비교 연구
- 방탄소년단 콘텐츠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
- 하이브리드 교육 환경에서의 학문 목적 한국어 토론 수업을 위한 메타버스 활용 방안 연구
-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를 위한 한국어 수업 구성 연구
- 한국어 관용 표현의 성구적 교수·학습을 위한 제언
- 한국어교육에서의 하이브리드 수업 사례 연구
- 성평등 인식에 기초한 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 대화문 분석
- 인용동사 시상 표현의 사용 양상 및 담화 기능 분석 연구
-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통역 불안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한중 대비를 통해 본 ‘NP1+NP2+V’구조의 주어 설정 문제
- 학술적 글쓰기에서의 시각 자료 활용에 대한 외국인 학부생 인식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