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하이브리드 교육 환경에서의 학문 목적 한국어 토론 수업을 위한 메타버스 활용 방안 연구
이용수 21
- 영문명
-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Metaverse for Korean Discussion Class for Academic Purpose in Hybrid Educational Environment Focusing on Spatial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장지영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89호, 193~22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crosses offline and online, and the real-time conference platform and metaverse platform that have been previously used will be selectively us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In Korean language discussion classes for academic purposes, metaverse can be useful in that learners need space for online tools and interactions at the same time because they need to search for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to prepare discussion. Therefore, in this study, Korean discussion classes in hybrid classrooms that compensated for the shortcomings of full online classes or full offline classes were conducted using 3D-based spatial among metaverse platfor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earners were able to feel the sense of reality by utilizing the sense of space in the discussion class, and showed relatively high interest. Second, the metaverse was useful in the preparation stage of discussion. The knowledge necessary for discussion was able to be searched within class, and cooperative learning was activated by sharing the searched contents, discussing them together, and taking notes on virtual space. Third, it will be possible to improve Korean language discussion skills and use them for discussion evaluation by utilizing more advanced technologies in the future.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global technology, various attempts are needed to utilize i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고찰
3. 수업 설계
4. 스페이셜(Spatial)에서의 토론 수업 사례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개념적 은유에 기반한 신문 표제어 교육의 효과 연구
- 조정기에 있는 중국 대학 한국어 교육의 현황 및 전망
- 한국인과 중국인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감사 부담감과 전략 사용 차이 비교 연구
- 방탄소년단 콘텐츠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
- 하이브리드 교육 환경에서의 학문 목적 한국어 토론 수업을 위한 메타버스 활용 방안 연구
-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를 위한 한국어 수업 구성 연구
- 한국어 관용 표현의 성구적 교수·학습을 위한 제언
- 한국어교육에서의 하이브리드 수업 사례 연구
- 성평등 인식에 기초한 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 대화문 분석
- 인용동사 시상 표현의 사용 양상 및 담화 기능 분석 연구
-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통역 불안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한중 대비를 통해 본 ‘NP1+NP2+V’구조의 주어 설정 문제
- 학술적 글쓰기에서의 시각 자료 활용에 대한 외국인 학부생 인식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