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교육에서의 하이브리드 수업 사례 연구
이용수 18
- 영문명
- Study on Hybrid Class Oper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한혜민 정회란 안정민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89호, 337~36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the case of hybrid learning Korean class by applying the ACAD model, to emphasize its meaning, and to suggest application points so that teachers and curriculum designers can redesign classes according to their situations. In this study, ‘hybrid class’ is defined as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which a teacher operates classes simultaneously in an offline classroom, which is a physical space, and online, which is a virtual space’. As an example of a hybrid class, an intermediate level Korean class at a university in Hong Kong was analyzed through an Activity-Centered Analysis and Design (ACAD) model. ACAD is a meta-theoretic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and improving local and complex learning situations, which consists of Social Design, Epistemic Design and Set Design. As a result of the case analysis, in the case of Social Design, interaction was achieved by appropriately utilizing online class tools according to the proportion of students participating both on and offline. As for Set Design, it was confirmed the pattern chang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classroom environment in conducting hybrid classes. Lastly, in Epistemic Design, Flipped Learning and Mobile-assisted Language Learning (MALL) were applied to help learners understand the contents in situations where online and offline classes were conducted simultaneously. The class targeted by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space where a hybrid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was prepared relatively early from the point of change to a hybrid education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ctually proposed considerations for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eachers and learners for conducting a hybrid Korean class.
목차
1. 서론
2. 하이브리드 러닝에 관한 연구
3. 수업 사례 연구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개념적 은유에 기반한 신문 표제어 교육의 효과 연구
- 조정기에 있는 중국 대학 한국어 교육의 현황 및 전망
- 한국인과 중국인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감사 부담감과 전략 사용 차이 비교 연구
- 방탄소년단 콘텐츠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
- 하이브리드 교육 환경에서의 학문 목적 한국어 토론 수업을 위한 메타버스 활용 방안 연구
-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를 위한 한국어 수업 구성 연구
- 한국어 관용 표현의 성구적 교수·학습을 위한 제언
- 한국어교육에서의 하이브리드 수업 사례 연구
- 성평등 인식에 기초한 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 대화문 분석
- 인용동사 시상 표현의 사용 양상 및 담화 기능 분석 연구
-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통역 불안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한중 대비를 통해 본 ‘NP1+NP2+V’구조의 주어 설정 문제
- 학술적 글쓰기에서의 시각 자료 활용에 대한 외국인 학부생 인식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