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문용어토론 수업을 위한 루브릭 개발 및 효과에 대한 연구
이용수 13
- 영문명
- Study on Rubric and its Effect in Terminology and Discussion Class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최은실 이아형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92호, 261~28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effect of a rubric as one of the ways to increase the learning effect when operating the discussion-centered Terminology and Discussion class.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 a rubric was developed and CoI (Community of Inquiry) questions were adjusted for the class. The rubric was designed based on the concept of terminology competency for translators, and the principle of rubric and CoI questions were also design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erminology classes. Then, the rubric was provided only in the second half of the semester. And the CoI framework was provided for the class students to find out the learning effect before and after utilizing the rubric. As a result. the self-assessment with the rubric shows that students are considered to improve their terminology competencies. In addition, regarding the effect of rubric, the CoI results show that the cognitive presence was improved, which lowered the social presence. And the decline have an impact on the teaching presence.
목차
1. 서론
2. 전문용어토론 수업과 루브릭
3. 전문용어토론 수업과 탐구공동체
4. 연구방법
5. 분석 결과
6.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능력시험(TOPIK) 대비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전문용어토론 수업을 위한 루브릭 개발 및 효과에 대한 연구
- 베트남 세종학당 비원어민 교원의 한국어 수업 및 인식 연구
- 북한 로동신문 보도 기사문의 텍스트 구성 방식 연구
- 유학생을 위한 취업 한국어 교양 과목 교수요목 설계 연구
- 뉴노멀(New Normal) 시대, 한국어 의사소통 교육의 방향 모색
- 토픽 모델링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 한국어 교실의 쉬는 시간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탐구
- 명명과제에 나타난 한국어 학습자의 단어 형성과 어휘부 연구
- 탄뎀 수업에 대한 교수자 인식 조사 연구
- 생태학적 관점과 한국어 교육에의 적용
- 음높이 조절에 따른 한국인과 중국어권 청자의 범주적 지각 연구
- 온라인 세종학당 특별 교육과정 선정을 위한 요구분석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