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Selection of Academic Borrowed Words List for Korean Learner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낭예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1권 2호, 59~8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select the list of borrowed words which are necessary and causes difficulties in studying for the most of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and to help them for studying in the university. Borrowed words takes large part of Korean words and the weight is getting creased. Especially, since terminology for the major includes a lot of borrowed words, the learners have great difficulties in studying. Therefore, the research examined the text books for the academic purposes for foreign students, and selected borrowed words in terms of a established criteria and then investigated the frequency of these words of web site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borrowed words for academic purpose are described. Given that there is no lists of borrowed words for academic purposes by each majors, the list of borrowed words would be effectively used for the learners who need to study those words which are differently used in their mother tongue, as well as English. Further, the research would be the basic work for developing dictionaries of borrowed words and textbooks for self-study for the academic purpose. (KyungHee University)
목차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 방법
3. 선행연구
4. 학문 목적 외래어의 정의
5. 학문 목적 외래어 목록의 선정
6. 학문 목적 외래어의 특징
7.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문 목적 외래어 목록 선정 연구
- 문화 인식과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한국어 학습
- 재외 동포에게 한국어가 갖는 의미
- 한국어교육을 위한 멀티미디어 수업 도구 개발의 실제
-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별 읽기 전략 연구
- Role of Dyadic Language Proficiency: Qualitative Analysi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Conversations with Their Conversation Partners
- 한일 한국어 교육과정 연계에 대하여
- 장르별 글쓰기 수업의 Dicto-Comp적용 연구
- 일음절 부사의 의미 특성 및 교육 방안 연구
- 어휘 교육 자료로서의 어휘의미망 활용에 관하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간접인용문에서의 인용동사 시제 선택 - 형식적 요인과 화자 요인을 중심으로
- 전승 한자음에서의 설·치음 뒤 j계 상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 과정 연구 - 『왜어유해』·『아학편』·『국한회어』 분석을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웅변서적 연구 - 유형별 검토 및 사회적·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