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Korean Reading Strategies Employed by Chinese Background Speaker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기준성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1권 2호, 29~5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presents reading strategy categories and individual reading strategies implemented by Chinese background speakers of different Korean proficiency levels. As a result of analysi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ree conclusions. First, compared to intermediate learners beginners show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use of strategic categories and individual strategies. However, compared to advanced learners, they use more strategic categories such as the 'social reading strategy', the 'affective reading strategy', and individual strategies such as 'translating', 'questioning' and 'emotion controlling'. Second, no strategic categories are significantly employed by intermediate learners compared to beginners, but individual strategies such as 'paraphrasing' is used frequently. Unlike advanced users, Intermediate learners tend to use more strategic categories such as the 'social reading strategy' and 'affective reading strategy' and more individual strategies such as 'translating' and 'questioning'. Third, as for advanced learner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are found in the use of strategic categories but employ individual strategies such as 're-reading' and 'no translating' frequently compared to beginners. Advanced learners, compared to intermediate learners, present no difference in the use of strategic categories but frequently employ individual strategies such as 're-reading'.
목차
1. 들어가기
2. 앞선 연구
3. 숙달도별 읽기 전략 차이
4. 나가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문 목적 외래어 목록 선정 연구
- 문화 인식과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한국어 학습
- 재외 동포에게 한국어가 갖는 의미
- 한국어교육을 위한 멀티미디어 수업 도구 개발의 실제
-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별 읽기 전략 연구
- Role of Dyadic Language Proficiency: Qualitative Analysi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Conversations with Their Conversation Partners
- 한일 한국어 교육과정 연계에 대하여
- 장르별 글쓰기 수업의 Dicto-Comp적용 연구
- 일음절 부사의 의미 특성 및 교육 방안 연구
- 어휘 교육 자료로서의 어휘의미망 활용에 관하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