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교육 정책과 문화 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25
- 영문명
- Research Tren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and Korean Culture Education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조항록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6권 4호, 389~41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and Korean Culture Education through reviewing the articles on both fields which appears in , the Journal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IAKLE). The number of articles which are reviewed in this study is 761, and these are from the first issue through the 27th issue(March 2015) of . I categorized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and Korean culture education into several subcategories by certain principles, since the studies on the sub-categorization of these fields have not been done, yet.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is categorized into five subcategories, and that of Korean culture education into six.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number of the articles on Korean education field among the articl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reaches 34, and it accounts for 65.4 percent. And, the number of the articles on culture education methods among the articles on Korean culture education is 21, and it accounts for 31.3 percent.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the number of research articles on both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and Korean culture education is rapidly increasing and it implies that these are newly-rising fiel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lso, it is worth noticing that the range of the research articl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is widening and the number of them is rapidly increasing since the involvement of Korean governmen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review also shows that there are a few researches on subcategories of both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and Korean culture education. And, it deserves to concern about further studies on the subcategories of both field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목차
1. 서론
2. 한국어 교육 정책과 문화 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을 위한 분석 기준의 설정
3. 한국어 교육 정책 연구의 동향
4. 문화 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교사의 내러티브로 본 ‘좋은’ 한국어 교사 요인 연구
- 중국인 학습자의 ‘-(으)ㄹ 것이다’ 의미 습득 양상
- English L1-Korean L2 Learners’ Grammatical Knowledge on High Frequency Grammatical Error Items
- 한국어 교실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감적 언어사용(Phatic Communion) 양상
- 한국어 기능 교육
- 의미관계를 이용한 어휘교육의 효과 연구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토론 수행에서 주제 친숙도가 담화 응집성에 미치는 영향
- 메타분석에 의한 ‘한국어교육’의 학문 동향과 발전 방향
- 한국어 중급 교재의 대화문에 나타난 비선호적 반응 발화의 구현 양상
- 한국어 교육 정책과 문화 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
-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오류와 교육 내용의 상호 관계 분석
- 한국어 모어 화자와 홍콩 광둥어 화자의 거절 화행 실현 양상 비교 연구
- 대만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 및 전망
- 일본인 학습자를 위한 속담 교육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