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만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 및 전망
이용수 32
- 영문명
- On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aiwan and Its Prospect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WANG, CHING-T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6권 4호, 133~16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Korean education centers are currently making progres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Korean Wave among the Asian countries is continuously improving the state of the Korean language today. In Korea, lots of academic research is in progress trying to find efficient ways of teaching Korean to foreigners. Besides, outside of Korea,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keeps on developing. Influenced by the Korean Wave, Taiwan is interest in the Korean language has increased, and at the same time it has expanded Korean language education. Since the late 1990’s, when the Korean Wave began, the scop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aiwan has been enlarged exclusively. However,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overseas remains at basic level. For further development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overseas, a profound research for its educational status is essential. The field of Korean Studies has a long history in Taiwa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aiwan has always been an integral part and has been discussed within the broader framework of Korean Studies.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focus o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TKFL), from the broader perspective of Korean Studies in Taiwan. In order to provide a many sided description of the TKFL in Taiwan today, the author does the following research. First, he provides a brief description of the Korean education history in Taiwan. Second, he investigated the present situation in the field of TKFL in institutions of all kinds of education, including the teaching approach, and the opportunities for employment for graduates. The author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the Korean teacher, students, curriculums and the rate of employment for graduates in Taiwan. He especially focuses on the development, both of the participants in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in Taiwan, and that of students studying abroad in Korea. Third, he observes the changes in Korean inbound tourist services, and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which is directly connected with TKFL. He also defines the challenges to TKFL in contemporary Taiwan. In the conclusion, some possible solutions to the defined challenges are offered. Therefore, in addition to examining the present progress of establishing Korean study in Taiwan, we wish to prepare the foundation to provide foreigners with a qualified Korean language education.
목차
1. 서론
2. 교육기관별 한국어 교육과정 내용과 교수진·학생 분포 현황
3. 한국어 교육의 파급 효과
4. 대만 내 한국어 교육의 특징 및 논의점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교사의 내러티브로 본 ‘좋은’ 한국어 교사 요인 연구
- 중국인 학습자의 ‘-(으)ㄹ 것이다’ 의미 습득 양상
- English L1-Korean L2 Learners’ Grammatical Knowledge on High Frequency Grammatical Error Items
- 한국어 교실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감적 언어사용(Phatic Communion) 양상
- 한국어 기능 교육
- 의미관계를 이용한 어휘교육의 효과 연구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토론 수행에서 주제 친숙도가 담화 응집성에 미치는 영향
- 메타분석에 의한 ‘한국어교육’의 학문 동향과 발전 방향
- 한국어 중급 교재의 대화문에 나타난 비선호적 반응 발화의 구현 양상
- 한국어 교육 정책과 문화 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
-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오류와 교육 내용의 상호 관계 분석
- 한국어 모어 화자와 홍콩 광둥어 화자의 거절 화행 실현 양상 비교 연구
- 대만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 및 전망
- 일본인 학습자를 위한 속담 교육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