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류' 현상으로 본 중국에서의 한국 대중문화 수용

이용수  8

영문명
The Phenomenon of 'Hanliu' and the Acceptability of Foreign Popular Culture in China
발행기관
국제지역학회
저자명
한홍석(Hongxi Han)
간행물 정보
『국제지역연구』제9권 제1호, 1~2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2.28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90년 대 말부터 주로 중국 대도시의 청소년들 가운데서 한국의 댄스, 음악, 드라마 등 대중문화 상품들이 크게 인기를 누리는 현상이 나타났는데 중국 언론에서는 이를 '한류'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중국 언론이 처음으로 만들어 낸 이 '한류'라는 용어는 지금에 와서 이미 중국뿐만 아니라 아시아 여러 나라들에서까지 한국 대중문화 상품이 유행한다는 특정 의미를 가진 대중용어로 자리 잡았다.지금까지 많은 사람들은 90년 대 말에 한국의 대중문화가 중국에서 유행할 수 있었던 원인을 주로 대중문화 상품의 경쟁력과 같은 'Push' 요인에서 찾았다. 그러나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경제, 사회, 문화 등 환경의 변화가 한국을 비롯한 외국의 대중문화를 수용할 수 있는 'Pull'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을 중시할 필요가 있다. 중국에서는 또한 다민족 국가가 가지고 있는 문화적인 다양성이 외국의 대중문화를 상대적으로 쉽게 수용할 수 있는 문화심리적인 기초로 되고 있다. 개혁개방 이후 경제의 고도성장과 국민소득 수준의 제고로 인해 중국에서 대중문화 상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반면, 문화예술 분야의 개혁 부진 때문에 대중문화 상품의 생산과 공급이 크게 부족하다. 따라서 불가피하게 외국의 대중 문화상품을 수입하게 되는데 시장경제화가 추진되면서 외국 대중문화 상품의 수입 및 소비 방식도 크게 변하고 있다. 수입 심사기준이 완화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입 목적도 경제적인 효과를 점점 더 중시하고 있다. 중국 매스컴 역시 정부 정책의 단순한 선전도구라는 역할에서 벗어나 광고 수입 등을 통해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 경제주체로 탈바꿈해 나아가고 있다. 지금까지 한중간의 밀접한 경제교류를 통해 중국 국민들은 한국에 대해 상대적으로 우호적인 정서를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정서적인 요인도 외국대중문화의 유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2000년을 전후하여 중국 대륙에서 유행한 '한류' 열풍은 'Push' 요인과 'Pull' 요인이 공동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기대하는 것처럼 한국 문화산업이 본격적으로 중국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중국 문화시장에 대한 보다 면밀한 연구와 대중문화 상품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꾸준한 노력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Korean cultural products have been popular to teenagers in big cities of China from the late 1990s. People called this phenomenon as 'Hanliu(Korea wave)'. This phenomenon resulted from 'Push' factor of Korea and 'Pull' factor in China. The popular cultural market to grow gradually and became ready to absorb foreign cultural products due to the changes of social and political environment by reform and open policies in China. These changes worked as a 'Pull' factor that Korean popular cultural products entered into China market in the late 1990s.There was also a 'Push' factor that Korean popular cultural products were competitive and companies were eager to penetrate the China market. The both factors have combined at right time and created greater effects than expected. In order to maintain 'Hanliu(Korea wave)'have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of Korean Popular cultural products and to broader the understanding about acceptability of China market.

목차

Ⅰ. 서론
Ⅱ. 중국 유행어로서의 '한류'
Ⅲ. 중국 문화의 다원성과 '한류'의 유행
Ⅳ. 외래문화 수용환경의 변화와 '한류'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홍석(Hongxi Han) . (2005).'한류' 현상으로 본 중국에서의 한국 대중문화 수용. 국제지역연구, 9 (1), 1-21

MLA

한홍석(Hongxi Han) . "'한류' 현상으로 본 중국에서의 한국 대중문화 수용." 국제지역연구, 9.1(2005): 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