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TTIP between the EU and the US on the Korean Economy
이용수 3
- 영문명
- EU와 미국간 범대서양무역투자동반자협정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분석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고종환(Jong-Hwan Ko)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8권 제4호, 143~16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2013년 7월 시작되어 현재 유럽연합(EU)과 미국 간 진행되고 있는 범대서양무역투자동반자협정(TTIP)이 EU와 미국 경제 및 한국 경제에 미치게 될 파급효과를 해외직접투자(FDI)와 해외상업적 주재를 명시적으로 고려한 글로벌CGE모형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TTIP의 경우, 관세를 완전히 제거하는 경우보다 해외직접투자와 외국기업 활동에 대한 장벽을 50% 삭감하는 경우에 EU와 미국 경제가 훨씬 더많이 성장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은 TTIP로 인해 0.017%의 추가적인 실질GDP의 증가를 누리게 될 것으로 분석되어, 만약 한국이 한-EU FTA와 한-미 FTA를 체결하지 않았더라면 1.735%의 추가적인 경제성장을 누리지 못하게 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력 및 운송업에서는 EU 및 미국 기업의 생산이 크게 증가하게 되어, 전력 및 운송업에서의 한국 기업의 생산 증가폭 중 50% 정도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었다. 통신업에서는 EU 및 미국 기업의 생산이크게 증가하면서 한국 기업의 생산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어 한국 기업은 통신업의 국제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을 배가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conduct a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e potentialeconomic effects of the transatlantic trade and investment partnership (TTIP) beingnegotiated between the EU and the US on its members and Korea using a globalmulti-sector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CGE) model that explicitly takes intoaccount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and foreign commercial presence differentiated bythe country of location and ownership.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Liberalisation of barriers to foreign affiliate sales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althougha partial liberalisation with a 50% cut of barriers to foreign affiliate sales and FDI, ismuch more important to stimulate the economies of the EU and the US than just tariffelimination between them. The opportunity cost that Korea would have to pay without theKorea-EU FTA and the Korea-US FTA is estimated to be 1.735% of the real GDP. About50% of the increased output of electricity and transport by Korean firms is to be replacedby their increased output by foreign affiliates from the EU and the US. The increase inoutput of communication by foreign affiliates from the EU and the US is to result in adrop of output of communication by Korean firms, which implies that Korean firms shouldmake more efforts to enhance their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 CGE Model and Data
Ⅲ. Baseline and Policy Scenarios
Ⅳ. Simulation Results
Ⅴ.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북한 국민소득과 통일경제
-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TTIP between the EU and the US on the Korean Economy
- 산업내무역이 수출비교우위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 중국 국외근로자공급제도의 법적문제
- 중국의 보장성주택제도에 관한 연구
- 경제자유지수의 장·단기 변동 분석
- 한국계 미국인의 민족정체성과 집단자존감에 관한 연구
- ICT Education and Training for Building Competitive Human Resources for Information Age in Korea
- 동시다발 자유무역협정(FTA) 발효의 위험성에 관한 연구
- 세계 금융위기 전후의 한국 중국 일본 미국의 주가 변동성의 비대칭성과 레버리지 분석
- 중국의 지역경제 성장 및 지역간 소득불균형 요인
- 지역축제 방문객 충성도의 계량적 종단연구
- 연구개발기획(Fuzzy Front End) 단계에서의 사업부문 간 횡적 협업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공적개발원조(ODA)의 경제성과 분석
- 중국의 省간 경제교류에 대한 연구
- 한·일 FTA의 노동시장 파급효과 분석
- 최고경영자 유형에 따른 경영성과가 최고경영자 교체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