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mpirical Longitudinal Study on the Loyalty of Local Festival Visitors: Focused on the Visitors of Gaecheon Art Festival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이재달(Jae-Dal Lee) 유정섭(Jungsub Yu)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8권 제4호, 321~34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역축제는 지역 문화예술과 전통, 지역민의 자긍심을 알리는 기회일 뿐만 아니라 지역경제와이미지를 제고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다. 축제 충성도가 축제 성과에 중요한 선행요인으로 평가되면서, 축제 주최자는 방문객 충성도 제고를 위해 다양한 축제 스케이프와 마케팅활동을 제공하게 된다. 지금까지 지역축제 충성도 연구는 특정 축제개최 시점을 기준으로 한횡단분석에 의존함으로써 방문객의 축제 충성도에 객관화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2012년과 2013년에 개최된 개천예술제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지역축제의 방문객 만족과이를 선행하는 세 개의 요인, 방문객 만족과 충성도와의 관계에 대해 종단적 연구를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하여 진행함으로써 지역축제 충성도 제고를 위한 각종 변인의 변화추세를 입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방문객의 참가동기와 전반적 만족 간에는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험동기와 유희동기를 강화할 수 있는 축제 프로그램과 안내를강화해야 한다. 둘째, 방문객의 전반적 만족이 충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방문객 만족 강화를 위한 축제프로그램 강화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개천예술제 축제에서 판매되는 기념품 혹은 각종 음식물과 지역문화에 대한 안내는 방문객의 전반적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개천예술제 방문객 편의시설과 전반적 만족 간의 관계에 있어서는 2012년과 2013년에 서로 다른 결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의결과를 일반화하여 지역 축제에 적용하기에는 연구대상 축제의 확대 필요성 및 동일 축제에대한 다년간 누적된 조사 자료의 축적 필요성 측면에서 여전히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영문 초록
Local festivals are effective tools not only to make a promotion local culture, fine arts,traditions and pride, but also to enhance the local economy and image. With the festivalevaluation that loyalty is an important predisposing factor, the festival organizers is toprovide visitors with various kinds of contents and marketing activities to enhance theloyalty of local festival. Recent researches on local festivals loyalty mainly have dependedon cross-sectional analysis of visitors to the festival held at the specific period, so it’shard to generalize the loyalty of local festival. However, the study is to adopt alongitudinal study of local festival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overcome theselimitations, and to three-dimensionally make out loyalty trends of other variables toevaluate local festival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st, visitors’ motivationshad an influence on overall satisfaction, and so it is necessary to enhance festivalprograms and guidance. 2nd, overall satisfaction of visitors directly influenced on festivalloyalty, so to strengthen that of visitors through the festival program. 3rd, festivalsouvenirs, food served and local culture did not affect overall satisfaction, in respective.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모형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연구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북한 국민소득과 통일경제
-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TTIP between the EU and the US on the Korean Economy
- 산업내무역이 수출비교우위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 중국 국외근로자공급제도의 법적문제
- 중국의 보장성주택제도에 관한 연구
- 경제자유지수의 장·단기 변동 분석
- 한국계 미국인의 민족정체성과 집단자존감에 관한 연구
- ICT Education and Training for Building Competitive Human Resources for Information Age in Korea
- 동시다발 자유무역협정(FTA) 발효의 위험성에 관한 연구
- 세계 금융위기 전후의 한국 중국 일본 미국의 주가 변동성의 비대칭성과 레버리지 분석
- 중국의 지역경제 성장 및 지역간 소득불균형 요인
- 지역축제 방문객 충성도의 계량적 종단연구
- 연구개발기획(Fuzzy Front End) 단계에서의 사업부문 간 횡적 협업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공적개발원조(ODA)의 경제성과 분석
- 중국의 省간 경제교류에 대한 연구
- 한·일 FTA의 노동시장 파급효과 분석
- 최고경영자 유형에 따른 경영성과가 최고경영자 교체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