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hosun Colour” and “the Cultural Racism”: An Analysis of The Dictionary of Korean-proper Colours(1932)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강소영(Kang, So-Young)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日本語文學 第94輯, 475~49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本稿は植民地朝鮮に長い間居住していた在朝日本人ジャーナリストの北川佐人が編纂した『朝鮮固有色辞典』の分析を通じて「朝鮮色」という文化の文脈に「文化的人種主義」がどのように働いているのかを究明したものである。 「朝鮮色」に関する解釈をめぐる論争の<場>もなく、帝国主義、日本の劣等な他者として観察され、表象された朝鮮の文化は、韓日間の生物学的違いのない故に、言語文化的人種主義という見方に基づいて記述された。1932年に刊行された『朝鮮固有色辞典』は、朝鮮総督府の支援のもと、日本による植民統治の美化·宣伝の役割とともに「朝鮮色」という劣等な他者を設定し、帝国·日本の優越さを誇示しようとする意図を明確にし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 朝鮮文化に関する百科事典の役割も果たしたこの事典は、各項目の説明後、同じ題材を用いた俳句の例を挿入することにより、俳句の句集とともに歪曲された言語表象のシステムを強固にするのに寄与した。すなわち、在朝日本人の北川は、「文明」と「野蛮」という二項対立項により「朝鮮色」を創造·解釈し、差別と支配を正当化させ、その作動をより強固にする契機を提供したのである。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I analyse The Dictionary of Korean-proper Colours, edited by Sukehito Kitagawa, a Japanese journalist who lived in Chosun for a long time during the colonisation period, and explore the way in which “the cultural racism” is situated in the cultraul context of “Korean colour.” The Chosun culture was observed and represented as an inferior entity in the context of the Imperialism without any arguments about the interpretation of “Chosun colour.” This representation wa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the linguistic- cultural racism because of lack of substantial biological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people. The present study reveals that The Dictionary of Korean- proper Colours, published in 1932, played a role in justifying and advertising Japan’s colonisation of Chosun under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general of Chosun and that it established the view of “Chosun colour” as an inferior entity in order to exhibit the superiority of Imperial Japan. The dictionary also inappropriately played an encyclopediac role in setting out the Chosun culture; each entry comes with an example of haiku featuring the theme of the entry, and this, together with haiku-compilation books, distorted the linguistic representational system. That is, Kitagawa, a Japanese living in Chosun, created and interpreted “Chosun colour” in terms of the dichotomy between “civilisation” and “brutality” and justified the discrimination and ruling even more firmly.
목차
1. 머리말
2. 『조선고유색사전』 편찬 배경
3. 문화적 인종주의의 시선들
4. 나가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동아전쟁 육군보도반원수기』의 역설
- 意志·決定을 나타내는 複合辞의 통시적 연구
- ‘조선색’과 문화적 인종주의
- 日本語の副詞教育に関する研究の概観と課題
- 否定条件形式「ナクテハ(ナクチャ)」の 非条件的用法
- 『일본서기』 고사본의 한국 고유명에 가점된 방훈(傍訓)의 성점 연구
- 일본(해외)취업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방안 연구
- 動詞否定丁寧形の発話機能
- 大物主神に関する一考察
- 하브루타(Havruta)를 활용한 온라인 수업의 효과 연구
- 日本語ヴォイス構文の自己知覚的非対称性に関する研究
- 일본어문장 암기 시의 분산학습효과 검증
- 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의 「초기삼부작」에 표상된 죽음의 시학(詩学)
-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아내 살해(妻殺し) 소설」이 갖는 의미
- 조선통신사와 에도시대 출판미디어
- 아호다라쿄(阿保陀羅経)를 통해 본 나이즈쿠시(無い尽くし)의 방법과 계보
- 『일본영이기日本靈異記』의 「術」을 통해 본 고대 한일교류
- いわゆる命令の「のだ」について
- 名詞句を構成する「ところ」に関する一考察
- 고교학점제 도입과 일본어교육
- 언어경관에 나타난 언어·문화적 코드
- NHK 대하드라마 「西郷どん」을 통한 일본의 역사인식 고찰
- 学習者の発想を活かす日本語作文指導
- 「行為要求+ヨ」構文の意味機能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NEW
- 한일 온라인교류 수업 설계 방안 연구 - 한일 대학생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생성형 AI 기반 일본어 한자어 수업 적용 사례 연구 - 강의식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일본어 비전공자의 일본취업 준비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