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So-called Imperative NODA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정상철(Jung, Sang-Cheol)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日本語文學 第94輯, 193~21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本稿では話し合い文で見られる、いわゆる命令的な「のだ」を対象とし、その文法的な意味と特徴について考察したものである。その主な論点を整理すると、次のようになる。 第1点目は命令的な「のだ」は<説明の構造>から考えると、記述文が不在する。したがって、<感嘆>などの用法と同様に<説明の構造>から離れ、「のだ」が説明という機能を失い、命令に近い働きをするようになるのである。 第2点目は命令的な「のだ」の文法的な特徴として次のような点を指摘した。 1)談話構造の移行(説明から命令) 2)よびかけ語(オイ、サア)との共起 3)文法化 第3点目は命令形による命令文と命令的な「のだ」文との異同について考察した。つまり、両者は共に命令的に機能するものの、後者は前者と違い、先行文との関連性、終助詞の種類、非典型的な命令用法の不在などの観点から違いもある、という点について指摘した。
영문 초록
In this paper, the grammatical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so- called imperative NODA appearing in dialogue were examined. The summary of the main discussion is as follows. First of all, from the perspective of , the imperative NODA deviates from as in the use of in that NODA lost the function of explanation and acquired a new function comparable to the imperative function. Second, it was pointed out that the use of the imperative NODA has the following grammatical characteristics. 1) implementation of the discourse structure (from “explanation” to “command”), 2) co-occurrence with vocative case (oi, saa), 3) grammaticalization Thir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mperative statement and the imperative NODA were considered. In other words, though both of them realize the imperative meaning, they display several differences pertaining to relevance to the preceding sentence, the types of co-occurring final particles, the atypical imperative usage, and so forth. However, there are many issues that have not been discussed here. In particular, among the atypical usages of NODA shown in dialogue, we could not mention the use of NODA that realizes the meaning of “admiration” and “emphasis”. These topics are left for future work.
목차
1.はじめに
2.先行硏究と問題点
3. 命令の「ノダ」文
4. 命令文と命令的な「のだ」文との異同
5. おわりに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동아전쟁 육군보도반원수기』의 역설
- 意志·決定을 나타내는 複合辞의 통시적 연구
- ‘조선색’과 문화적 인종주의
- 日本語の副詞教育に関する研究の概観と課題
- 否定条件形式「ナクテハ(ナクチャ)」の 非条件的用法
- 『일본서기』 고사본의 한국 고유명에 가점된 방훈(傍訓)의 성점 연구
- 일본(해외)취업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방안 연구
- 動詞否定丁寧形の発話機能
- 大物主神に関する一考察
- 하브루타(Havruta)를 활용한 온라인 수업의 효과 연구
- 日本語ヴォイス構文の自己知覚的非対称性に関する研究
- 일본어문장 암기 시의 분산학습효과 검증
- 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의 「초기삼부작」에 표상된 죽음의 시학(詩学)
-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아내 살해(妻殺し) 소설」이 갖는 의미
- 조선통신사와 에도시대 출판미디어
- 아호다라쿄(阿保陀羅経)를 통해 본 나이즈쿠시(無い尽くし)의 방법과 계보
- 『일본영이기日本靈異記』의 「術」을 통해 본 고대 한일교류
- いわゆる命令の「のだ」について
- 名詞句を構成する「ところ」に関する一考察
- 고교학점제 도입과 일본어교육
- 언어경관에 나타난 언어·문화적 코드
- NHK 대하드라마 「西郷どん」을 통한 일본의 역사인식 고찰
- 学習者の発想を活かす日本語作文指導
- 「行為要求+ヨ」構文の意味機能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NEW
- 한일 온라인교류 수업 설계 방안 연구 - 한일 대학생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생성형 AI 기반 일본어 한자어 수업 적용 사례 연구 - 강의식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일본어 비전공자의 일본취업 준비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