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cient Korea-Japan exchange Seen through the “Jutsu” of “Nihon Ryouiki”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홍성목(Hong, Seong-Mok)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日本語文學 第94輯, 451~47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本稿は『日本霊異記』の収録した説話の中に現れる「術」という表記について、『日本書紀』や『萬葉集』など上代諸文献の記述と比較、検討し古代韓日交流の痕跡を探そうとしたものである。 『日本書紀』の中の「術」の記録を調べてみると、百済と高句麗、即ち韓半島と関係のある記述のみ「人知をこえた不思議な力」という意味に使われていた。また『萬葉集』の場合にも吉田宜という百済出身の帰化人によって日本に紹介され伝えられていると思われる。『日本霊異記』でも『日本書紀』や『萬葉集』の例と同じく、「術」を「人知をこえた不思議な力」という意味で使われた場合、上巻28話、下巻38話のように、漏れなく大陸の呪法·呪術に限られている。『三国遺事』も同様であった。 すなわち『日本霊異記』の成立した9世紀初頃までは、日本の諸記録の中に「術」が使われた場合、韓半島の術、または韓半島を経由して日本に伝わったと思われる中国(道教)の術のみ「術」の文字を用いていたと思われる。これは当時の韓日交流と文化の伝達をよく表していると考えられる。
영문 초록
This paper compares and examines the notation “jutsu” that appears in the narratives recorded in “Nihon Ryouiki” with the descriptions in various literatures of the ancient times such as “Nihon Shoki” and “Manyoshu”, and traces of ancient Korea-Japan exchanges. Examining the record of “jutsu” in “Nihon Shoki”, only the description related to Baekje and Goguryeo, that is, the Korean Peninsula, was used to mean “mysterious power beyond human knowledge.” Also, in the case of “Manyoshu”, it seems that it was introduced to Japan by a naturalized person from Baekje named Kitta Yoshida. In “Nihon Ryouiki”, as in the examples of “Nihon Shoki” and “Manyoshu”, when “jutsu” is used to mean “mysterious power beyond human knowledge”, it is limited to continental spells and spells without omission, as in the case of the Zyokan episode 28 and the Gekan episode 38. The same was true for “Sankokuizi”. In other words, until the beginning of the 9th century, when “Nihon Ryouiki” was established, if “jutsu” was used in Japanese records, it would have been transmitted to Japan due to the mysterious power of the Korean Peninsula or via the Korean Peninsula. It seems that only the Chinese (Taoist) mysterious power used the word “jutsu”. This is thought to be a good representation of the exchange and culture of Korea and Japan at that time.
목차
1. 들어가며
2. 『일본서기』와 『만엽집』의 「術」
3. 『영이기』와 『삼국유사』의 「術」
4.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동아전쟁 육군보도반원수기』의 역설
- 意志·決定을 나타내는 複合辞의 통시적 연구
- ‘조선색’과 문화적 인종주의
- 日本語の副詞教育に関する研究の概観と課題
- 否定条件形式「ナクテハ(ナクチャ)」の 非条件的用法
- 『일본서기』 고사본의 한국 고유명에 가점된 방훈(傍訓)의 성점 연구
- 일본(해외)취업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방안 연구
- 動詞否定丁寧形の発話機能
- 大物主神に関する一考察
- 하브루타(Havruta)를 활용한 온라인 수업의 효과 연구
- 日本語ヴォイス構文の自己知覚的非対称性に関する研究
- 일본어문장 암기 시의 분산학습효과 검증
- 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의 「초기삼부작」에 표상된 죽음의 시학(詩学)
-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아내 살해(妻殺し) 소설」이 갖는 의미
- 조선통신사와 에도시대 출판미디어
- 아호다라쿄(阿保陀羅経)를 통해 본 나이즈쿠시(無い尽くし)의 방법과 계보
- 『일본영이기日本靈異記』의 「術」을 통해 본 고대 한일교류
- いわゆる命令の「のだ」について
- 名詞句を構成する「ところ」に関する一考察
- 고교학점제 도입과 일본어교육
- 언어경관에 나타난 언어·문화적 코드
- NHK 대하드라마 「西郷どん」을 통한 일본의 역사인식 고찰
- 学習者の発想を活かす日本語作文指導
- 「行為要求+ヨ」構文の意味機能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NEW
- 한일 온라인교류 수업 설계 방안 연구 - 한일 대학생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생성형 AI 기반 일본어 한자어 수업 적용 사례 연구 - 강의식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일본어 비전공자의 일본취업 준비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