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생성형 AI 기반 일본어 한자어 수업 적용 사례 연구 - 강의식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Generative AI in Japanese Kanji Vocabulary Instruction : A Comparative Analysis with Lecture-Based Classes
발행기관
일본어문학회
저자명
김은영(Eun-Young Kim) 이수민(Su-Min Lee) 강정애(Jung-Aae Kang)
간행물 정보
『일본어문학』第110輯, 29~46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a practical case of applying Generative AI i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t the university level, specifically focusing on kanji vocabulary learning, and to compare its educational effects with traditional lecture-based instruction. The participants were 28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a course titled “Practical Kanji and Vocabulary.” Over a 15-week semester, both lecture-based and AI-integrated classes were implemented. Quant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re- and post- surveys, and qualitative insights were derived from learners’ reflective journals. The results indicated that while the lecture-based class received higher satisfaction in terms of content and instructional delivery, the AI- based class—particularly using ChatGPT—fostered greater learner autonomy, practical language use, and motivation. Interactive learning with generative AI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enhanc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creative express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pedagogical potential of AI-integrated instruction and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Japanese kanji education, offering foundational insights for future innovations in foreign language teaching and curriculum design.

영문 초록

本研究は、大学の日本語教育において生成型AI(Generative AI)を活用した漢字語学習の実践的適用事例を分析し、伝統的な講義式授業と比較してその教育的効果を考察することを目的とした。対象は「実戦漢字と言葉」科目を履修した大学生28名であり、15週間にわたる講義式授業と生成型AI活用授業をそれぞれ実施し、事前·事後アンケートおよび学習者のリフレクション日誌を通じて認識の変化と学習経験を量的·質的に分析した。分析の結果、講義式授業は内容、教材、教授方法の面で高い満足度を示したが、生成型AI授業では学習者の自律性、実用的表現力、学習動機の向上などの肯定的な経験が確認された。特にChatGPTを活用した対話的学習プロセスは、学習者の創造性と主体性を促す有効な手段であることが示された。本研究は、日本語の漢字語教育における質的転換の可能性と、AIを活用した授業設計の実践的示唆を提供し、今後の外国語教育のイノベーションを支える基礎的知見となることが期待される。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3. 연구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영(Eun-Young Kim),이수민(Su-Min Lee),강정애(Jung-Aae Kang). (2025).생성형 AI 기반 일본어 한자어 수업 적용 사례 연구 - 강의식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일본어문학, (), 29-46

MLA

김은영(Eun-Young Kim),이수민(Su-Min Lee),강정애(Jung-Aae Kang). "생성형 AI 기반 일본어 한자어 수업 적용 사례 연구 - 강의식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일본어문학, (2025): 29-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