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Historical Study on Compound Auxiliary Verbs of Will and Decision - Focused on ‘(yo)utosuru’ -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안지영(An, Ji-Young)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日本語文學 第94輯, 157~17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本研究は、意思·決定を表す現代日本語複合辞「-(よ)うとする」を中心 に、その成立と変遷過程を究明するものである。まず「-むとす(る)」の初出は『日本書紀』である。その後、江戸時代まで「-むとす(る)」の用例を確認することができる。しかし、「-むとす(る)」は平安時代以降用例が減少するが、「-んとす(る)」は、『源氏物語』を起点にその用例数が増加している。これは意志を表す助動詞「む」と「ん」の変化の傾向と同じで、複合辞として定着していく過程でも、その傾向が反映されている。次に「-んとす(る)」の初出は『常陸国風土記』である。意志動詞とともに使用されている。今回の調査では「-むとす(る)」と「-んとす(る)」は混在して使用された時期 があったことが分かった。また、「-うとす(る)」の初出は、近松門左衛門の作品の『心中万年草』である。特記すべきことは、「-うとす(る)」の用例がほとんど近松門左衛門の作品から抽出されている点である。しかし、本調査では、現代日本語の形態である「よう」が含まれている用例は、抽出されなかった。ただし『天草本平家物語』と『狂言集』に、「-うとす(る)」の形ではないが、現代日本語の「よう」に接続した例が確認できた。このような接続形態は、16世紀頃から使用されていることが分かる
영문 초록
The focus of this study is the expression of decision, process of the formation and transition of the modern Japanese Compound Auxiliary Verbs ‘-(yo) utosuru’. The first appearance of ‘-Mutosu(ru)’ is ‘Nihonshoki’ and it was used until the Edo period. However, the use of ‘-Mutosu’ diminished beginning in the Heian period but increased beginning in the ‘Genji Monogatari’. This is the same trend existing in the auxiliary verbs ‘mu’ and ‘n’ to express will and it is reflected in the process of becoming established as a compound verb. In addition, the first appearance of ‘-Ntosu(ru)’ is ‘Hitachinokunihudoki’ and it was used with verbs that express will.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time when ‘-Mutosu(ru)’ and ‘-Ntosu(ru)’ were used together. Lastly, the first appearance of ‘-Utosu(ru)’ is the work of Chikamatsu Monzaemon’s ‘Shinjumannenso’. It should be noted that most of the examples of ‘-utosu(ru)’ are extracted from the works of Chikamatsu Monzaemon. However, in this study, examples containing ‘you’, which is a form of modern Japanese, were not extracted. In ‘Amakusabon Heike Monogatari’ and ‘Kyogen’, there is an example of connecting to ‘you’ in modern Japanese, although it is not in the form of ‘-(yo)utosu(ru)’. It can be seen that the form of such a connection has been used since the 16th century.
목차
1.서론
2.「-(よ)うとする」의 제 양상
3.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동아전쟁 육군보도반원수기』의 역설
- 意志·決定을 나타내는 複合辞의 통시적 연구
- ‘조선색’과 문화적 인종주의
- 日本語の副詞教育に関する研究の概観と課題
- 否定条件形式「ナクテハ(ナクチャ)」の 非条件的用法
- 『일본서기』 고사본의 한국 고유명에 가점된 방훈(傍訓)의 성점 연구
- 일본(해외)취업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방안 연구
- 動詞否定丁寧形の発話機能
- 大物主神に関する一考察
- 하브루타(Havruta)를 활용한 온라인 수업의 효과 연구
- 日本語ヴォイス構文の自己知覚的非対称性に関する研究
- 일본어문장 암기 시의 분산학습효과 검증
- 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의 「초기삼부작」에 표상된 죽음의 시학(詩学)
-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아내 살해(妻殺し) 소설」이 갖는 의미
- 조선통신사와 에도시대 출판미디어
- 아호다라쿄(阿保陀羅経)를 통해 본 나이즈쿠시(無い尽くし)의 방법과 계보
- 『일본영이기日本靈異記』의 「術」을 통해 본 고대 한일교류
- いわゆる命令の「のだ」について
- 名詞句を構成する「ところ」に関する一考察
- 고교학점제 도입과 일본어교육
- 언어경관에 나타난 언어·문화적 코드
- NHK 대하드라마 「西郷どん」을 통한 일본의 역사인식 고찰
- 学習者の発想を活かす日本語作文指導
- 「行為要求+ヨ」構文の意味機能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NEW
- 한일 온라인교류 수업 설계 방안 연구 - 한일 대학생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생성형 AI 기반 일본어 한자어 수업 적용 사례 연구 - 강의식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일본어 비전공자의 일본취업 준비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