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peech Functions of the Negated Polite Forms of Verbs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김은주(Kim, Eun-Ju)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日本語文學 第94輯, 69~8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本稿では、動詞否定丁寧形「~ません」と「~ないです」の使用状況を分析し、両形式の使い分けの要因として「発話機能」(叙述機能、表出機能、呼びかけ機能)が関連していることを主張する。質問紙調査の分析を行い、以下の二点を明らかにする。 1)動詞否定丁寧形「~ません」と「~ないです」は発話機能が異なる。「~ません」形は「表出」機能、「呼びかけ」機能が強く働くのに対し、「~ないです」形は「叙述」機能が強く働く傾向がある。 2)従来の研究では、動詞述語文において「~ないです」形の許容度がかなり低いと指摘されてきたが、「動詞述語文」でも「~ないです」形の許容度が高い場合がある。話し手がある事柄や事態を単純に打ち消す場合、すなわち叙述機能を有する場合は「~ないです」形の許容度が高くなる。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I analyse the usage patterns of -masen and -naidesu, the negated polite forms of verbs, and argue that a primary factor for their usage differences is related to “speech functions”(the representation function, the expressive function, and the appellative function). Based on a questionnaire -based survey, the main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re summarised as follows. Firstly, -masen and -naidesu exhibit different speech functions. Whilst the -masen form particularly displays the “expressive” function and the “appellative” function, the -naidesu form is predominantly associated with the “representation” function. Secondly, previous studies have pointed out that the acceptability of the -naidesu form is considerably low in the case of verbal predicative sentences, but this form is indeed naturally used in some instances even in the case of verbal predicative sentences. That is, the form is naturally used when it has a representation function, where a speaker simply negates a certain fact or state-of-affairs.
목차
1. はじめに
2. 선행연구
3. カール·ビューラーの言語オルガノン·モデル
4. 연구방법
6. おわりに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동아전쟁 육군보도반원수기』의 역설
- 意志·決定을 나타내는 複合辞의 통시적 연구
- ‘조선색’과 문화적 인종주의
- 日本語の副詞教育に関する研究の概観と課題
- 否定条件形式「ナクテハ(ナクチャ)」の 非条件的用法
- 『일본서기』 고사본의 한국 고유명에 가점된 방훈(傍訓)의 성점 연구
- 일본(해외)취업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방안 연구
- 動詞否定丁寧形の発話機能
- 大物主神に関する一考察
- 하브루타(Havruta)를 활용한 온라인 수업의 효과 연구
- 日本語ヴォイス構文の自己知覚的非対称性に関する研究
- 일본어문장 암기 시의 분산학습효과 검증
- 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의 「초기삼부작」에 표상된 죽음의 시학(詩学)
-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아내 살해(妻殺し) 소설」이 갖는 의미
- 조선통신사와 에도시대 출판미디어
- 아호다라쿄(阿保陀羅経)를 통해 본 나이즈쿠시(無い尽くし)의 방법과 계보
- 『일본영이기日本靈異記』의 「術」을 통해 본 고대 한일교류
- いわゆる命令の「のだ」について
- 名詞句を構成する「ところ」に関する一考察
- 고교학점제 도입과 일본어교육
- 언어경관에 나타난 언어·문화적 코드
- NHK 대하드라마 「西郷どん」을 통한 일본의 역사인식 고찰
- 学習者の発想を活かす日本語作文指導
- 「行為要求+ヨ」構文の意味機能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NEW
- 한일 온라인교류 수업 설계 방안 연구 - 한일 대학생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생성형 AI 기반 일본어 한자어 수업 적용 사례 연구 - 강의식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일본어 비전공자의 일본취업 준비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