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Overview of Studies on the Teaching of Japanese Adverbs and its Current Issues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김영아(Kim, Young-Ah)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日本語文學 第94輯, 53~6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本稿では、日本語の副詞教育のための一考察として、副詞習得に関する研究の現状と課題を見るため、まず、従来の日本語の副詞に関する研究の傾向や特徴を概観し、次に、日本語教育における副詞研究の成果と課題を踏まえ、最後に、今後の日本語の副詞の習得研究方法と実際の日本語教育現場への運用できる方案について考察する。韓国での副詞研究を研究焦点として、日本語教育のための指導や注意点に関する研究と学習者の習得状況·誤用などを対象にした日本語の副詞習得状況に対する研究に分けて日本語教育的な立場からの副詞研究の成果と特徴をまとめた。 日本語の副詞習得研究のための課題として、第一に、韓国での日本語教育における副詞研 究が副詞の意味·用法の使い分けを明らかにすることや指導法に片寄っていたが、学習者のニーズと日本語の学習レベルに応じた的確な副詞習得に関する研究に広げること、第二に、文法論的視点からみた研究成果を生かし、日·韓副詞の対照研究に拡張すること、第三に、実際の日本語教育現場で運用できる副詞学習の効果的な指導方案の模索が必要であることを指摘した。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I aim to clarify the current state of studies on the teaching of Japanese adverbs and its issues. For this purpose, I first present an overview of previous studies on Japanese adverbs, then sum up the results and prospects of research on Japanese adverbs in the context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nd finally propose a teaching method which can be made use of for acquisition studies on Japanese adverbs and actual practices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Building on studies on adverbs in Korea, I characterise previous studies on adverbs from the perspective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by dividing them into those based on instructions for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nd those based on learners’ acquisition data and errour analyses. There are three challenges for acquisition studies on Japanese adverbs. Firstly,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n Korea has been mostly based on the meaning and usage patterns of adverbs, and we must broaden research in order to cater for learners’ needs and learning stages. Secondly, we must make most of grammatical research on adverbs and pursue Japanese-Korean contrastive analyses. Finally, we need to present a method for effectively teaching adverbs that can be implemented in actual classes.
목차
1. はじめに
2. 일본어 부사연구 개관
3. 일본어 부사습득에 관한 연구
4. 이후 일본어 부사습득연구 과제
5. おわりに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동아전쟁 육군보도반원수기』의 역설
- 意志·決定을 나타내는 複合辞의 통시적 연구
- ‘조선색’과 문화적 인종주의
- 日本語の副詞教育に関する研究の概観と課題
- 否定条件形式「ナクテハ(ナクチャ)」の 非条件的用法
- 『일본서기』 고사본의 한국 고유명에 가점된 방훈(傍訓)의 성점 연구
- 일본(해외)취업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방안 연구
- 動詞否定丁寧形の発話機能
- 大物主神に関する一考察
- 하브루타(Havruta)를 활용한 온라인 수업의 효과 연구
- 日本語ヴォイス構文の自己知覚的非対称性に関する研究
- 일본어문장 암기 시의 분산학습효과 검증
- 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의 「초기삼부작」에 표상된 죽음의 시학(詩学)
-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아내 살해(妻殺し) 소설」이 갖는 의미
- 조선통신사와 에도시대 출판미디어
- 아호다라쿄(阿保陀羅経)를 통해 본 나이즈쿠시(無い尽くし)의 방법과 계보
- 『일본영이기日本靈異記』의 「術」을 통해 본 고대 한일교류
- いわゆる命令の「のだ」について
- 名詞句を構成する「ところ」に関する一考察
- 고교학점제 도입과 일본어교육
- 언어경관에 나타난 언어·문화적 코드
- NHK 대하드라마 「西郷どん」을 통한 일본의 역사인식 고찰
- 学習者の発想を活かす日本語作文指導
- 「行為要求+ヨ」構文の意味機能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NEW
- 한일 온라인교류 수업 설계 방안 연구 - 한일 대학생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생성형 AI 기반 일본어 한자어 수업 적용 사례 연구 - 강의식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일본어 비전공자의 일본취업 준비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