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Joseon Tongsinsa and Publication Media in Edo Period: Focusing on the Parade Guides Published in Kyoto and Edo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박려옥(Park, Lyu-Ok)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日本語文學 第94輯, 517~54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本稿は「朝鮮通信使と江戸時代の出版メディア」というテーマで京都と江戸で刊行された、朝鮮通信使行列の情報を収録した案内書について考察したものである。 當時異国である朝鮮からの使節団が行うパレードを見物しようと多くの人々が集まり、その見物者に向けて出版社はあらかじめ行列の鑑賞に必要な情報を提供する「ガイドブック」を刷った。本稿では、特に京都と江戸で出された菊屋七郎衛板と辻村五兵衛板の案内書について比較考察し、展開の様相を概観するなかでメディアとしての価値を再発見しようとした。 両方の案内書はそれぞれの体制と目的を以て地域性を考慮した情報を大衆に提供する一方で、時にはお互いに連携しながら情報を共有しており、朝鮮通信使を朝貢使節と見なす共通した視線も見受けられる。 これらの案内書がパレードや使節団に関する情報を大衆に提供し、また朝鮮への認識の形成にも寄与した大衆メディアとしての側面に注目し、今後は対馬で刊行された朝鮮通信使に関する案内書や、琉球王国の使節団に関する案内書との比較研究も行うつもりである。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arade guides published in Kyoto and Edo under the theme of ‘Joseon Tongsinsa and Publication Media in Edo Period’. Thousands of people flocked to watch the parade performed by the delegation, and publishers published guidebooks in advance. In this study, the publication and contents of guidebooks published in Kyoto and Edo were compared and reviewed to outline the development of guidebooks and rediscover the value of the guidebooks as media. Both guides provide information to the public in consideration of locality with their respective systems and publication purposes, and sometimes share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it also reveals a common view of the delegation as a tribute envoy.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it served as a mass media where information about the Joseon Dynasty can be easily obtained, I intend to continue a comparative study with the guidebook published in Tsushima and the guidebook for the parade of the Ryukyu Kingdom delegation.
목차
1. 머리말
2. 조선통신사와 행렬 안내서
3. 행렬 안내서의 전개 양상
4.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동아전쟁 육군보도반원수기』의 역설
- 意志·決定을 나타내는 複合辞의 통시적 연구
- ‘조선색’과 문화적 인종주의
- 日本語の副詞教育に関する研究の概観と課題
- 否定条件形式「ナクテハ(ナクチャ)」の 非条件的用法
- 『일본서기』 고사본의 한국 고유명에 가점된 방훈(傍訓)의 성점 연구
- 일본(해외)취업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방안 연구
- 動詞否定丁寧形の発話機能
- 大物主神に関する一考察
- 하브루타(Havruta)를 활용한 온라인 수업의 효과 연구
- 日本語ヴォイス構文の自己知覚的非対称性に関する研究
- 일본어문장 암기 시의 분산학습효과 검증
- 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의 「초기삼부작」에 표상된 죽음의 시학(詩学)
-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아내 살해(妻殺し) 소설」이 갖는 의미
- 조선통신사와 에도시대 출판미디어
- 아호다라쿄(阿保陀羅経)를 통해 본 나이즈쿠시(無い尽くし)의 방법과 계보
- 『일본영이기日本靈異記』의 「術」을 통해 본 고대 한일교류
- いわゆる命令の「のだ」について
- 名詞句を構成する「ところ」に関する一考察
- 고교학점제 도입과 일본어교육
- 언어경관에 나타난 언어·문화적 코드
- NHK 대하드라마 「西郷どん」을 통한 일본의 역사인식 고찰
- 学習者の発想を活かす日本語作文指導
- 「行為要求+ヨ」構文の意味機能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NEW
- 한일 온라인교류 수업 설계 방안 연구 - 한일 대학생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생성형 AI 기반 일본어 한자어 수업 적용 사례 연구 - 강의식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일본어 비전공자의 일본취업 준비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