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Ōmononushi-no Kami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최원재(Choi, Won-Jai)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日本語文學 第94輯, 423~44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本稿は、『記』『書紀』における大物主神に纏わる伝承の在り方やその担い手を中心に『記』の編纂意図を考察したもので、その結果は次の通りである。 まず、国作りの段で大国主神と大物主神を別神としている『記』と両神を同一視しようとする神代紀一書の記述の違いについては、氏族とその奉斎神である「三輪の神」を正すためであると考えられる。 次に、『記』『書紀』における三輪山伝承の担い手となる氏族については、丹塗矢伝承の場合は、鉄生産や製鉄集団である渡来系氏族の賀茂氏との関連性を想定したし、また三輪山伝承の場合は、意富多々泥古を祖先とする三輪氏がこれに深く関わっているのではないかと考えた。 三つ目に、三輪山伝承において意富多々泥古が「神君·鴨君の祖」という始祖注をつけていることについては、神武記の丹塗矢伝承と崇神記の三輪山伝承とを結び付けるための働きを持ち合わせていると推察できる。その目的は、意富多々泥古を神君の祖として、また神武記の丹塗矢伝承の保持者と思われる鴨君の祖としてそれぞれ位置づけるためのものである。と同時に、それは神武記の丹塗矢伝承では神婚譚を通して大物主神の女の血統を天皇家の内部にとり込み、崇神記の三輪山伝承では祭祀を通して大物主神の祟り神としての神性を抑えることでその絶対性を打ち出そうとしているのである。それは『記』編者の編纂意図によるものであると考えられる。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I analyse the folklores of Ōmononushi-no Kami stated in Ki and Shoki and the storytellers of these folklores in order to explore the intention of the editor of Ki.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treatment of Ōkuninushi-no Kami and Ōmononushi -no Kami between Ki and Shoki. In the former, they are identified as one and the same god, whilst in the latter, they are viewed as different gods. This difference, I argue, is due to the editor’s intention to correctly describe the clan of Uji and their god, Ōmiwa-no Kami. Second, I argue that the clan of Uji, the storyteller of three folklores of Miwayama, suggested relevance of the lore of Ninuriya to the clan of Kamo, who produced ironware, and relevance of the lore of Miyama to the clan of Miwa, whose ancestor is Ōtataneko. Third, in the folklores of Miwayama, Ōtataneko is described as “the God, the genesis of Kamo-no Kimi,” and this seems to connect the lore of Ninuriya in Jinmuki with the lore of Miyama in Sujinki. The objective of this is to regard Ōtataneko as the ancestor of Miwa-no Kimi and as the ancestor of Kamo-no Kimi who maintained the lore of Ninuriya. At the same time, it takes a female descendent of Ōmononushi-no Kami in the emperor family through the story of god’s marriage in Jinmuki, and emphasises the power of Ōmononushi-no Kami by restraining its mystical nature as the god of punishment in the lore of Miyama in Sujinki. I contend that these were intentionally described by the editor of Ki.
목차
1. はじめに
2. 三輪の神と大物主神と大國主神の關連
3. 丹塗矢伝承と大物主神
4. 神武記紀における大物主神と事代主神
5. 箸墓伝承と大物主神
6. 三輪山伝承と大物主神
7. まとめ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동아전쟁 육군보도반원수기』의 역설
- 意志·決定을 나타내는 複合辞의 통시적 연구
- ‘조선색’과 문화적 인종주의
- 日本語の副詞教育に関する研究の概観と課題
- 否定条件形式「ナクテハ(ナクチャ)」の 非条件的用法
- 『일본서기』 고사본의 한국 고유명에 가점된 방훈(傍訓)의 성점 연구
- 일본(해외)취업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방안 연구
- 動詞否定丁寧形の発話機能
- 大物主神に関する一考察
- 하브루타(Havruta)를 활용한 온라인 수업의 효과 연구
- 日本語ヴォイス構文の自己知覚的非対称性に関する研究
- 일본어문장 암기 시의 분산학습효과 검증
- 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의 「초기삼부작」에 표상된 죽음의 시학(詩学)
-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아내 살해(妻殺し) 소설」이 갖는 의미
- 조선통신사와 에도시대 출판미디어
- 아호다라쿄(阿保陀羅経)를 통해 본 나이즈쿠시(無い尽くし)의 방법과 계보
- 『일본영이기日本靈異記』의 「術」을 통해 본 고대 한일교류
- いわゆる命令の「のだ」について
- 名詞句を構成する「ところ」に関する一考察
- 고교학점제 도입과 일본어교육
- 언어경관에 나타난 언어·문화적 코드
- NHK 대하드라마 「西郷どん」을 통한 일본의 역사인식 고찰
- 学習者の発想を活かす日本語作文指導
- 「行為要求+ヨ」構文の意味機能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NEW
- 한일 온라인교류 수업 설계 방안 연구 - 한일 대학생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생성형 AI 기반 일본어 한자어 수업 적용 사례 연구 - 강의식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일본어 비전공자의 일본취업 준비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