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the Asymmetry of Self-perception in Voice Constructions in Japanese: With a Focus on Middle, Unergative and Unaccusative Construction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천호재(Cheon, Ho-Jae)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日本語文學 第94輯, 251~28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本稿の目的は日本語のヴォイス構文の中で中間構文(有生主語中間構文、無生主語中間構文)と関連構文(非能格自動詞構文、非対格自動詞構文)との自己知覚的非対称性を考察したものである。その結果、日本語中間構文に適用される自己知覚的概念の①自己の直接知覚(エコロジカル·セルフ、観察点の公共性·知覚の公共性·主語の属性、インターパーソナル·セルフ、エコロジカル·セルフとインターパーソナルの自己統合)、②自己知覚と言語表現(ゼロ形の意味論、仮想変化表現、観察点の公共性と表現の総称性、インターパーソナル·セルフと言語現象)、③視座の移動と自己の客体化(視座の概念、移動、運動·變化·位置關係と自己の客体化)、④一人称代名詞の獲得の社会的基盤(チンパンジーの自己鏡映像認知とその社会的基盤、一人称代名詞、他者の視座の獲得、インターパーソナル·セルフの理解)、⑤記憶と想像の中の自己(エピソード記憶、意味記憶、観察者の記憶、視野の記憶)などの下位概念が中間構文と関連構文の間で非対称的に発生している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self perceptional asymmetry of middle construction, that is, animate subject middle construction, inanimate subject middle construction and relevant construction, that is, unergative construction and unaccusative construction under ecological psychological point of view among Japanese voice construction.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has an experience to analyze Japanese middle construction with the activity of perception, perception system, semantic and ecological self, redundancy and perception learning and publicity concept, however, this study is distinguished with existing study with regar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Japanese middle construction with relevant construction based on self perception concept only. First, the asymmetry of middle construction and relevant construction is distinguished based on the self perceptional concept, that is, ①Self direct perception(ecological self, a publicness of perception・a publicness of a viewpoint・attribute of the subject, interpersonal self, self integration between ecological self and personnel), ②Self perception and linguistic expression(Zero type semantics, virtual change expression, genericity of a publicness of perception and expression, interpersonal self and linguistic phenomenon), ③Objective of a movement of a vantage point and self(Concept, movement, exercise・change・location relation of vantage point and objective of self), ④Social base of a first-person pronoun acquisition(Self mirror image recognition of chimpanzee and the social base, a first-person pronoun, vantage point acquisition of other personnel, understanding self with personnel), ⑤Self in the memory and imagination(Episode memory, Semantic memory, Observer memory, Field memory), etc. applied on Japanese middle construction.
목차
1. はじめに
2. 自己知覺の理論的背景
3. 先行硏究の檢討
4. 自己知覺と中間構文
5. 中間構文と關連構文との自己知覺の非對稱性
6. おわりに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동아전쟁 육군보도반원수기』의 역설
- 意志·決定을 나타내는 複合辞의 통시적 연구
- ‘조선색’과 문화적 인종주의
- 日本語の副詞教育に関する研究の概観と課題
- 否定条件形式「ナクテハ(ナクチャ)」の 非条件的用法
- 『일본서기』 고사본의 한국 고유명에 가점된 방훈(傍訓)의 성점 연구
- 일본(해외)취업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방안 연구
- 動詞否定丁寧形の発話機能
- 大物主神に関する一考察
- 하브루타(Havruta)를 활용한 온라인 수업의 효과 연구
- 日本語ヴォイス構文の自己知覚的非対称性に関する研究
- 일본어문장 암기 시의 분산학습효과 검증
- 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의 「초기삼부작」에 표상된 죽음의 시학(詩学)
-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아내 살해(妻殺し) 소설」이 갖는 의미
- 조선통신사와 에도시대 출판미디어
- 아호다라쿄(阿保陀羅経)를 통해 본 나이즈쿠시(無い尽くし)의 방법과 계보
- 『일본영이기日本靈異記』의 「術」을 통해 본 고대 한일교류
- いわゆる命令の「のだ」について
- 名詞句を構成する「ところ」に関する一考察
- 고교학점제 도입과 일본어교육
- 언어경관에 나타난 언어·문화적 코드
- NHK 대하드라마 「西郷どん」을 통한 일본의 역사인식 고찰
- 学習者の発想を活かす日本語作文指導
- 「行為要求+ヨ」構文の意味機能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NEW
- 한일 온라인교류 수업 설계 방안 연구 - 한일 대학생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생성형 AI 기반 일본어 한자어 수업 적용 사례 연구 - 강의식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일본어 비전공자의 일본취업 준비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