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韓国人学習者のための日本語の副詞の 語彙教育に関する研究
이용수 64
- 영문명
- A Study on Vocabulary Education of Japanese Adverb for Korean Learners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金 英 児 (Kim, Young-Ah)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日本語文學 第84輯, 51~7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28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日本語教育のなかで、コミュニケーション能力を高める重要な要素にも
関わらず、動詞や形容詞のような他の品詞に比べて付加的なものに扱わ
れ、日本語教育の現場での副詞語彙教育は体系的に行われていなかった。
そこで、本稿では、日本語の語彙教育のための副詞の研究の一貫として、
JLPTの公式問題集N1∼N3とJLPTの対策のために韓国で出版された模擬問
題集N1∼N3を対象にし、副詞を網羅的に集め、各レベルによる高頻度リ
ストから重要度による学習者のレベルに合わせた副詞リストを作成した。
その結果、まずは、公式問題集N1~N3のそれぞれの副詞リストと、公式
問題集N1~N3に共通する副詞リストが作成できた。これは、JLPT対策用
の最低必要な副詞リストであり、初級段階から習得する副詞リストとして
活用できる。続いて、JLPT模擬問題集N1~N3の副詞リストと公式問題集
の副詞リストを比較し、JLPT各レベルごとに共通する副詞リストとJLPT レベルによる分布を用い、データベース化することができた。最後にJLPT
用とJPT用の副詞リストを比較することによって、JLPTとJPTの共通する 高頻度の副詞リストを作成し、それに基づいて、韓国人初․中․上級学習
者のための副詞のデータベースを構築することができた。
영문 초록
As part of research on adverbs for Japanese vocabulary education, this study collected all adverbs from the official Japanese-Language Proficiency Test(JLPT) workbooks N1-N3 that were published to help Korean learners to prepare for the JLPT. Then, adverb lists for each level were compiled.
Eventually, Japanese adverb lists for official JLPT workbook levels N1, N2, and N3, as well as a common adverb list for all N1-N3 levels of the official workbook were created. The latter list includes the minimum knowledge of adverbs required for the JLPT, and learners can use this list from the beginner level and beyond. In addition, the list of adverbs that commonly appear in each level of JLPT were produced by comparing the adverb lists in the JLPT workbooks N1-N3 and the adverb list from the official workbook. The distribution of adverbs in each JLPT level was displayed in a diagram that was then used to establish a database. Lastly, the list of adverbs that appear in both the JLPT and JPT frequently was made by comparing the lists of adverbs tested in the JLPT and JPT. Based on this list, the adverb data for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Japanese language learners in Korea was established.
목차
1. はじめに
2. 先行研究
3. 調査概要
4. 調査結果と分析
5. まとめと今後の課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山中峯太郎民族論* 1) - アイヌ表象を中心に -
- あられる という敬語形式について - 国会会議録を資料として -
- ピッチアクセント言語における音調変化 - 韓国語全羅道諸方言を例にして -
- 야나가와(柳川)시의 ‘やさしい日本語ツーリズム’에 관한 연구* - 초급일본어 학습자의 관광해설 선호도를 중심으로
- 아라이 테쓰(新井徹)의 흙담에 그리다(土墻に描く)와 까치(カチ)에 나타난 조선체험
- 日本の飲食名の統語構造
- 일본취업과 대학의 역할* -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본취업 시스템을 중심으로 -
- 고바야시 잇사 하이쿠와 후지산
- 근세 초기 명소기(名所記)의 지식 구현과 전달의 방법에 관한 고찰* - 문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 1920년대 가라후토(사할린) 내조선인 인구 통제를 위한 작부 제재
- 特性を表す 形容詞+名詞 述語文と 形容詞述語文 - 会話文と地の文における主語の示し方と述語構造とのかかわり -
- 현대일본영화에 나타난 조선인 표상 - <언덕을 넘어서(丘を越えて)>의 마해송을 중심으로 -
- 해방 직후 일본의 모빌리티 시스템과 ‘재일조선인’의 형성- 이회성의 백년 동안의 나그네(百年の旅人たち)를 중심으로 -
- 日本語と韓国語の2人称代名詞* - あなた․きみ․おまえ の使い分けと韓国語対応のあり方 -
- 시베리아 출병과 오토기바나시(お伽話)* - 경성일보(京城日報)의 기사를 중심으로 - 1)
- 시가 나오야의 暗夜行路연구 - ‘가족로망스’ 이론을 통해 본 성장의 의미에 대해 -
- 対人関係の構築における否定的評価の出現 - 日本語母語話者と韓国人留学生の会話を対象に -
- 韓国人学習者のための日本語の副詞の 語彙教育に関する研究
- 원폭(原爆)과 고통의 기억* — 재일시인의 시를 중심으로—
- 일본문학 수업에서 플립러닝의 적용
- 일본소설과 영화에서 終助詞 さ な ね よ 의 번역어 연구
- 전후 담론에 나타난 ‘고도성장’의 표상* 1) - 가토 노리히로의 아메리카의 그늘 을 중심으로 -
- 日本語の若者言葉の理論的分析に向けて
- 한․일 문학에 나타난 이상향(理想郷) 의식 연구* 1) - 청학동과 가쿠레자토(隠れ里)를 중심으로 -
-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유의어 大事 와 大切 의 사용 양상 비교
- 捨小舟정부원번안과정에서의 문체 및 어휘 변화
- 일본근대 소설가의 희곡 창작* 1) - 다니자키 준이치로와 미시마 유키오의 희곡 창작에 대한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
- 日韓のポジティブ․ポライトネス․ストラテジー とネガティブ․ポライトネス․ストラテジー に関する量的および質的分析
- 일본 SE(System Engineer)분야의 어휘 분석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