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바야시 잇사 하이쿠와 후지산
이용수 76
- 영문명
- Mount Fuji in Kobayashi Issa’s Haiku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유옥희(You, Ok -Hee)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日本語文學 第84輯, 407~42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28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小林一茶は富士山の俳句を80句ほど残している。本稿ではこれらの作品を、従来の詩歌の文脈に照らし合わせて見る一方、江戸時代当時の富士山信仰(富士講)をも考慮に入れながら一茶にとって富士山は何であったのかということを考察した。江戸時代以前は富士山から遠く離れた上方地方の貴族たちが神仙思想などと結びつけ想像の存在として詠んだり、国の象徴として称えたりしていた。しかし、一茶は、主に関東地方を流浪しながら平地にそびえる富士山を日常的に眺め、また、当時冨士講が民間でブームを成していた傾向にも影響され、富士山から芸術的インスピレーションと
生命の力を得ていたと見られる。一茶俳句において富士山は、その雄大さから気概の象徴となったり、小さな生命と富士山が詠み合わせられるとき は、権威に屈しない庶民を強調する存在でもあった。また、‘汁の椀にも不
二の山’という表現のように、衣食住の生活の中に富士山がよく登場するが、これらは大自然に順応しながら素朴に生きる人間の姿を浮き彫りにす る装置として詠まれ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
영문 초록
Kobayashi Issa left more than 46 pieces of haiku for Mount Fuji. This study considers these works in the context of traditional poetry and the Fuji-ko (Fuji worship) of the Edo era together to examine ‘what Mount Fuji was like to Issa’. Prior to the Edo period, nobles in Kansai, far away from Mount Fuji, often wrote of this mountain as an imaginary figure by associating it with Taoist ideology. However, Issa lived in the Kanto region, overlooking Mount Fuji rising on the plains, and was influenced by the social atmosphere of the Fuji-ko boom at that time, which means he lived a life in close contact with Mount Fuji. In Issa Haiku, Mount Fuji is a being that boosts magnanimity due to its grandeur, and when Mount Fuji is placed in a perspective as viewed by small creatures, it was also a being that emphasized ordinary people who did not feel timid. In addition, Mount Fuji often appears in the life through food and clothing, and as a place to live, as in the example of ‘Mount Fuji reflected in a soup bowl’. In these, Mount Fuji was used as a being that emphasizes the simple human being living in harmony with nature.
목차
1. 들어가며
2. 후지산과 일본인
3. 잇사와 후지산, 그리고 후지코(富士講)
4. 잇사 하이쿠 속의 후지산
5. 나오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山中峯太郎民族論* 1) - アイヌ表象を中心に -
- あられる という敬語形式について - 国会会議録を資料として -
- ピッチアクセント言語における音調変化 - 韓国語全羅道諸方言を例にして -
- 야나가와(柳川)시의 ‘やさしい日本語ツーリズム’에 관한 연구* - 초급일본어 학습자의 관광해설 선호도를 중심으로
- 아라이 테쓰(新井徹)의 흙담에 그리다(土墻に描く)와 까치(カチ)에 나타난 조선체험
- 日本の飲食名の統語構造
- 일본취업과 대학의 역할* -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본취업 시스템을 중심으로 -
- 고바야시 잇사 하이쿠와 후지산
- 근세 초기 명소기(名所記)의 지식 구현과 전달의 방법에 관한 고찰* - 문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 1920년대 가라후토(사할린) 내조선인 인구 통제를 위한 작부 제재
- 特性を表す 形容詞+名詞 述語文と 形容詞述語文 - 会話文と地の文における主語の示し方と述語構造とのかかわり -
- 현대일본영화에 나타난 조선인 표상 - <언덕을 넘어서(丘を越えて)>의 마해송을 중심으로 -
- 해방 직후 일본의 모빌리티 시스템과 ‘재일조선인’의 형성- 이회성의 백년 동안의 나그네(百年の旅人たち)를 중심으로 -
- 日本語と韓国語の2人称代名詞* - あなた․きみ․おまえ の使い分けと韓国語対応のあり方 -
- 시베리아 출병과 오토기바나시(お伽話)* - 경성일보(京城日報)의 기사를 중심으로 - 1)
- 시가 나오야의 暗夜行路연구 - ‘가족로망스’ 이론을 통해 본 성장의 의미에 대해 -
- 対人関係の構築における否定的評価の出現 - 日本語母語話者と韓国人留学生の会話を対象に -
- 韓国人学習者のための日本語の副詞の 語彙教育に関する研究
- 원폭(原爆)과 고통의 기억* — 재일시인의 시를 중심으로—
- 일본문학 수업에서 플립러닝의 적용
- 일본소설과 영화에서 終助詞 さ な ね よ 의 번역어 연구
- 전후 담론에 나타난 ‘고도성장’의 표상* 1) - 가토 노리히로의 아메리카의 그늘 을 중심으로 -
- 日本語の若者言葉の理論的分析に向けて
- 한․일 문학에 나타난 이상향(理想郷) 의식 연구* 1) - 청학동과 가쿠레자토(隠れ里)를 중심으로 -
-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유의어 大事 와 大切 의 사용 양상 비교
- 捨小舟정부원번안과정에서의 문체 및 어휘 변화
- 일본근대 소설가의 희곡 창작* 1) - 다니자키 준이치로와 미시마 유키오의 희곡 창작에 대한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
- 日韓のポジティブ․ポライトネス․ストラテジー とネガティブ․ポライトネス․ストラテジー に関する量的および質的分析
- 일본 SE(System Engineer)분야의 어휘 분석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