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라이 테쓰(新井徹)의 흙담에 그리다(土墻に描く)와 까치(カチ)에 나타난 조선체험
이용수 45
- 영문명
- The experience of Chosun in Arai Tetsu’s “Doshou-ni Egaku” and “Kachi”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채지혜(Chae, Ji-Hye)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日本語文學 第84輯, 486~502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28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本研究ではまだよく知られていない日本人作家内野健児について深みの
ある作品分析を行うことが目的である。内野健児はよくプロレタリア作家 として知られたが、ここではこれと同じ概念を脱し、彼の作品に対する純
粋な分析を扱っている。プロレタリアが朝鮮と日本に受容された当時、各 国の状況において異なって受けられたのを認知するべきである。このよう
な研究は、植民地朝鮮を別の視点から再照明するための重要で意味がある
考察と思う。また、内野健児は朝鮮に先生の身分で滞在していたが、朝鮮
総督府によって朝鮮から追放された経験を持っている。
日本人作家だが、日本政府によって朝鮮から追放された異邦人という位 置で、朝鮮をどう解いたかどうかについて綿密に考察する。最初の詩集の
土墻に描くは朝鮮総督府から発売禁止された履歴も持っているし、それ
に対して深い悲しみを表れている。朝鮮から追放されて2年後に韓国語の
発音を生かしてタイトルについた二番目の詩集カチを通じて内野健児を 通して見た朝鮮の姿と、日本で生き残るために厳しい生活ぶりなどを分析
してみたい。また、朝鮮に滞在した時と日本に追放された後の作風につい て比較考察してみたい。
영문 초록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analyze the literary works of Kenji Uchino, a Japanese writer who has not been widely recognized as yet. Wh ile Uchino is often regarded as a proletarian writer, we do not adopt this characterization and address his literary works themselves. The present wo rk would be significant for shedding light on Chosun of the colonial era f rom another perspective. In particular, Uchino resided in Korea as a teach er but was deported from Chosun by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Our specific interest lies in the issue of how Uchino, a rootless Japanese writer who was deported from Chosun by the Japanese government, const rued Chosun. His first poem collection, Doshou-ni Egaku, was prevented from being sold by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and he expressed his deep sorrow about it. Two years after he was deported from Chosun, the poem collection Kachi, whose title was based on Korean pronunciations, was published, and we take this as the key to understanding Uchino’s con ception of Chosun of the time and his severe life to survive in Japan. Fur thermore, his work written while he was in Chosun is compared with the work written after he was deported to Japan.
목차
1. 프롤레타리아 문학과 우치노 겐지
2. 우치노 겐지의 조선체험
3. 아라이 테쓰의 조선 추방
4. 조선 추방 후 까치를 통해 본 조선
5. 경계와 이방인이라는 위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山中峯太郎民族論* 1) - アイヌ表象を中心に -
- あられる という敬語形式について - 国会会議録を資料として -
- ピッチアクセント言語における音調変化 - 韓国語全羅道諸方言を例にして -
- 야나가와(柳川)시의 ‘やさしい日本語ツーリズム’에 관한 연구* - 초급일본어 학습자의 관광해설 선호도를 중심으로
- 아라이 테쓰(新井徹)의 흙담에 그리다(土墻に描く)와 까치(カチ)에 나타난 조선체험
- 日本の飲食名の統語構造
- 일본취업과 대학의 역할* -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본취업 시스템을 중심으로 -
- 고바야시 잇사 하이쿠와 후지산
- 근세 초기 명소기(名所記)의 지식 구현과 전달의 방법에 관한 고찰* - 문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 1920년대 가라후토(사할린) 내조선인 인구 통제를 위한 작부 제재
- 特性を表す 形容詞+名詞 述語文と 形容詞述語文 - 会話文と地の文における主語の示し方と述語構造とのかかわり -
- 현대일본영화에 나타난 조선인 표상 - <언덕을 넘어서(丘を越えて)>의 마해송을 중심으로 -
- 해방 직후 일본의 모빌리티 시스템과 ‘재일조선인’의 형성- 이회성의 백년 동안의 나그네(百年の旅人たち)를 중심으로 -
- 日本語と韓国語の2人称代名詞* - あなた․きみ․おまえ の使い分けと韓国語対応のあり方 -
- 시베리아 출병과 오토기바나시(お伽話)* - 경성일보(京城日報)의 기사를 중심으로 - 1)
- 시가 나오야의 暗夜行路연구 - ‘가족로망스’ 이론을 통해 본 성장의 의미에 대해 -
- 対人関係の構築における否定的評価の出現 - 日本語母語話者と韓国人留学生の会話を対象に -
- 韓国人学習者のための日本語の副詞の 語彙教育に関する研究
- 원폭(原爆)과 고통의 기억* — 재일시인의 시를 중심으로—
- 일본문학 수업에서 플립러닝의 적용
- 일본소설과 영화에서 終助詞 さ な ね よ 의 번역어 연구
- 전후 담론에 나타난 ‘고도성장’의 표상* 1) - 가토 노리히로의 아메리카의 그늘 을 중심으로 -
- 日本語の若者言葉の理論的分析に向けて
- 한․일 문학에 나타난 이상향(理想郷) 의식 연구* 1) - 청학동과 가쿠레자토(隠れ里)를 중심으로 -
-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유의어 大事 와 大切 의 사용 양상 비교
- 捨小舟정부원번안과정에서의 문체 및 어휘 변화
- 일본근대 소설가의 희곡 창작* 1) - 다니자키 준이치로와 미시마 유키오의 희곡 창작에 대한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
- 日韓のポジティブ․ポライトネス․ストラテジー とネガティブ․ポライトネス․ストラテジー に関する量的および質的分析
- 일본 SE(System Engineer)분야의 어휘 분석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