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현대일본영화에 나타난 조선인 표상 - <언덕을 넘어서(丘を越えて)>의 마해송을 중심으로 -
이용수 69
- 영문명
- The Representation of Joseon People Described in Contemporary Japanese Films – Focusing on Ma Haesong(馬海松) in Oka-o Koete –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장유리(Jang, You-lee)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日本語文學 第84輯, 613~63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28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00年代以降の日本映画において 在日 を描いたものは多数製作され た。特にGO(2001)をはじめ、パッチギ!(2005)、焼肉ドラゴン
(2018)など、大衆的に人気を得て商業映画として成功を収めた作品も珍し
くない。しかし、現代の日本社会を生きる 在日 ではなく、植民地時代に おける朝鮮人を描いた現代日本映画は非常に少ないといえる。本稿では、
植民地時代の朝鮮人が現代日本映画にどのように表象されているかについ
て2008年に公開された映画丘を越えてを中心に考察を試みる。
丘を越えては大正から昭和にかけて活動した文学者菊池寛と彼の女性
秘書、そして朝鮮出身の青年馬海松という3人の実存人物をモデルにして 作られた映画である。しかし、丘を越えての全体的な設定はリアリティ
に基づいているものの、映画の軸になっている3人の関係はフィクション である。本稿では、そのリアリティとフィクションの狭間で作られた朝鮮
人表象を分析することによって、現代日本の大衆文化が植民地時代におい
ての朝鮮人をどのように認識しているかについて考えてみたい。
영문 초록
Japanese films which have been created since the 2000s contain many “zaini chi”-featuring works. In particular, there are a number of publicly popular films such as GO(2001), Pacchigi!(2005), and Yakiniku Dragon (2018). These films depict “zainichi”-people who live in contemporary Japanese societies. On the other hand, few films have been created which depict Joseon people of the colonial era. In this paper, we analyze Oka-o Koete(2008) in order to examine how Joseon people of the colonial era are represented in contemporary Japanese films.
Oka-o Koete is based on three figures: the literature scholar Kan Kikuchi, who was active from Taisho period to Showa period, his female secretary, and Ma Haesong/Ma Kaishou(馬海松), a young man from Joseon. While the general picture of the film reflects the situation of the tim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characters is a fiction. In the present study, we analyze the representation of Joseon people in the interwoven textile of actual and fictional contexts, in order to reveal the ways in which Joseon people of the colonial time were recognized in the public cultures of contemporary Japan.
목차
1. 들어가며
2. 영화 <언덕을 넘어서>의 리얼리티와 허구성
3. 기쿠치 간과 마해송의 대립구도
4.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山中峯太郎民族論* 1) - アイヌ表象を中心に -
- あられる という敬語形式について - 国会会議録を資料として -
- ピッチアクセント言語における音調変化 - 韓国語全羅道諸方言を例にして -
- 야나가와(柳川)시의 ‘やさしい日本語ツーリズム’에 관한 연구* - 초급일본어 학습자의 관광해설 선호도를 중심으로
- 아라이 테쓰(新井徹)의 흙담에 그리다(土墻に描く)와 까치(カチ)에 나타난 조선체험
- 日本の飲食名の統語構造
- 일본취업과 대학의 역할* -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본취업 시스템을 중심으로 -
- 고바야시 잇사 하이쿠와 후지산
- 근세 초기 명소기(名所記)의 지식 구현과 전달의 방법에 관한 고찰* - 문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 1920년대 가라후토(사할린) 내조선인 인구 통제를 위한 작부 제재
- 特性を表す 形容詞+名詞 述語文と 形容詞述語文 - 会話文と地の文における主語の示し方と述語構造とのかかわり -
- 현대일본영화에 나타난 조선인 표상 - <언덕을 넘어서(丘を越えて)>의 마해송을 중심으로 -
- 해방 직후 일본의 모빌리티 시스템과 ‘재일조선인’의 형성- 이회성의 백년 동안의 나그네(百年の旅人たち)를 중심으로 -
- 日本語と韓国語の2人称代名詞* - あなた․きみ․おまえ の使い分けと韓国語対応のあり方 -
- 시베리아 출병과 오토기바나시(お伽話)* - 경성일보(京城日報)의 기사를 중심으로 - 1)
- 시가 나오야의 暗夜行路연구 - ‘가족로망스’ 이론을 통해 본 성장의 의미에 대해 -
- 対人関係の構築における否定的評価の出現 - 日本語母語話者と韓国人留学生の会話を対象に -
- 韓国人学習者のための日本語の副詞の 語彙教育に関する研究
- 원폭(原爆)과 고통의 기억* — 재일시인의 시를 중심으로—
- 일본문학 수업에서 플립러닝의 적용
- 일본소설과 영화에서 終助詞 さ な ね よ 의 번역어 연구
- 전후 담론에 나타난 ‘고도성장’의 표상* 1) - 가토 노리히로의 아메리카의 그늘 을 중심으로 -
- 日本語の若者言葉の理論的分析に向けて
- 한․일 문학에 나타난 이상향(理想郷) 의식 연구* 1) - 청학동과 가쿠레자토(隠れ里)를 중심으로 -
-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유의어 大事 와 大切 의 사용 양상 비교
- 捨小舟정부원번안과정에서의 문체 및 어휘 변화
- 일본근대 소설가의 희곡 창작* 1) - 다니자키 준이치로와 미시마 유키오의 희곡 창작에 대한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
- 日韓のポジティブ․ポライトネス․ストラテジー とネガティブ․ポライトネス․ストラテジー に関する量的および質的分析
- 일본 SE(System Engineer)분야의 어휘 분석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