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日韓のポジティブ․ポライトネス․ストラテジー とネガティブ․ポライトネス․ストラテジー に関する量的および質的分析
이용수 60
- 영문명
-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n Positive Politeness Strategies and Negative Politeness Strategies in Korean and Japanese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元 智 恩(Won, Ji-Eun)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日本語文學 第84輯, 159~18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28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本研究の目的は日本語と韓国語のポライトネス․ストラテジーを分析
し、両言語の共通点と相違点を明らかにすることである。日本のテレビ․ド ラマとそれをリメークした韓国のテレビ․ドラマを対象とし、そのドラマに
現れたポジティブ․ポライトネス․ストラテジー(以下、PPS)とネガティ
ブ․ポライトネス․ストラテジー(以下、NPS)に関して3段階の分析プロセ スを通して両言語の異同を分析した。1段階では両国で共通の場面を抽出 し、その場面の会話を書き起こすプロセスを通してテキスト化した。2段階 ではPPSとNPSの頻度や割合を調査し、量的分析をした。3段階ではポライ トネスの核心的概念として 距離 を抽出し、主題語によって会話のテキスト を範疇化し、質的分析を行った。主題語として 心の距離を縮める対話 距 離を維持する対話 遠近調節のバランスの良い対話 という3つのカテゴ リーを設定し、その下位範疇として 親交を全面に出した説得 盛んな勧め 目上の尊重 控え目な発話 理性的な反応 遠近調節のバランスの良い会 話 という6つを設定した。分析の結果、日韓の共通点もあれば、相違点も 見つけることができた。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oliteness strategies and discover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Japanese and Korean. Based on Japanese TV dramas and Korean remakes of these drama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were analyzed through the 3-step analysis process regarding positive politeness strategy (PPS from here on) and negative politeness strategy (NPS from here on). In the first step, common scenes were extracted and the conversations were transcribed into texts. In the second step, the frequency of PPS and NPS were counted and qualitatively analyzed in the microscopic perspective. In the step 3, the ‘distance’, the essential concept of politeness, was extracted and the transcription was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topic for a qualitative analysis in the macroscopic perspective. For the categorization, there were 3 categories: conversations ‘which narrow the distance between minds’, ‘which maintain the distance’, and ‘which have a balanced perspective’.
There were 6 subcategories as subthemes.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many similarities and some differences. For further research, I would like to analyze the polite strategy based on daily conversations in the two languages.
목차
1. 序論
2. Brown & Levinsonのポライトネス理論
3. 研究方法
4. 分析および考察
5. 結論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山中峯太郎民族論* 1) - アイヌ表象を中心に -
- あられる という敬語形式について - 国会会議録を資料として -
- ピッチアクセント言語における音調変化 - 韓国語全羅道諸方言を例にして -
- 야나가와(柳川)시의 ‘やさしい日本語ツーリズム’에 관한 연구* - 초급일본어 학습자의 관광해설 선호도를 중심으로
- 아라이 테쓰(新井徹)의 흙담에 그리다(土墻に描く)와 까치(カチ)에 나타난 조선체험
- 日本の飲食名の統語構造
- 일본취업과 대학의 역할* -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본취업 시스템을 중심으로 -
- 고바야시 잇사 하이쿠와 후지산
- 근세 초기 명소기(名所記)의 지식 구현과 전달의 방법에 관한 고찰* - 문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 1920년대 가라후토(사할린) 내조선인 인구 통제를 위한 작부 제재
- 特性を表す 形容詞+名詞 述語文と 形容詞述語文 - 会話文と地の文における主語の示し方と述語構造とのかかわり -
- 현대일본영화에 나타난 조선인 표상 - <언덕을 넘어서(丘を越えて)>의 마해송을 중심으로 -
- 해방 직후 일본의 모빌리티 시스템과 ‘재일조선인’의 형성- 이회성의 백년 동안의 나그네(百年の旅人たち)를 중심으로 -
- 日本語と韓国語の2人称代名詞* - あなた․きみ․おまえ の使い分けと韓国語対応のあり方 -
- 시베리아 출병과 오토기바나시(お伽話)* - 경성일보(京城日報)의 기사를 중심으로 - 1)
- 시가 나오야의 暗夜行路연구 - ‘가족로망스’ 이론을 통해 본 성장의 의미에 대해 -
- 対人関係の構築における否定的評価の出現 - 日本語母語話者と韓国人留学生の会話を対象に -
- 韓国人学習者のための日本語の副詞の 語彙教育に関する研究
- 원폭(原爆)과 고통의 기억* — 재일시인의 시를 중심으로—
- 일본문학 수업에서 플립러닝의 적용
- 일본소설과 영화에서 終助詞 さ な ね よ 의 번역어 연구
- 전후 담론에 나타난 ‘고도성장’의 표상* 1) - 가토 노리히로의 아메리카의 그늘 을 중심으로 -
- 日本語の若者言葉の理論的分析に向けて
- 한․일 문학에 나타난 이상향(理想郷) 의식 연구* 1) - 청학동과 가쿠레자토(隠れ里)를 중심으로 -
-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유의어 大事 와 大切 의 사용 양상 비교
- 捨小舟정부원번안과정에서의 문체 및 어휘 변화
- 일본근대 소설가의 희곡 창작* 1) - 다니자키 준이치로와 미시마 유키오의 희곡 창작에 대한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
- 日韓のポジティブ․ポライトネス․ストラテジー とネガティブ․ポライトネス․ストラテジー に関する量的および質的分析
- 일본 SE(System Engineer)분야의 어휘 분석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