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의 신뢰도 분석
이용수 249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Reliability of th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for Gifted Students : Application of Generalizability Theory
- 발행기관
- 한국영재교육학회
- 저자명
- 윤소영(So Young Yoon) 한기순(Ki Soon Han)
- 간행물 정보
- 『영재와 영재교육』제15권 제3호, 55~7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8.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화가능도 연구를 수행하여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를 영재학생에게 적용할 경우 나타나는 오차의 근원을 밝히고, 결정 연구를 통해 일반화가능도 계수를 최적화할 수 있는 측정 조건을 모색함으로써 완벽주의 척도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효율적인 측정 구조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과학고등학교 학생 120명과 동일 지역 교육지원청 부설 영재교육원의 교육대상자인 중학생 140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에서 문항보다는 하위요인과 관련된 오차가 더 많이 작용하고 있으며, 검사도구의 하위요인과 문항 이외에 다른 오차원 분석이 필요하다. 둘째, 3개의 하위요인과 각각 15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진 H-MPS의 신뢰도를 고전검사이론을 이용한 Cronbach α 계수로 측정한 결과 .97로 나타나 높은 신뢰도를 보였으나, D연구 수행 결과 일반화가능도 계수는 .6944, 의존도 계수는 .5593으로 나타나 적정 수준의 신뢰도보다 낮게 측정되었다. 검사의 신뢰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보다 경제적인 검사가 되기 위해서는 하위요인을 8개로 세분화하고 최소한 5개 이상의 문항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완벽주의 척도에 대한 신뢰도 분석을 수행할 때 하위요인과 문항을 포함하여 다양한 변인들을 함께 고려할 것과 영재에게 H-MPS를 적용할 경우 하위요인과 측정 문항에 대한 재검토 및 영재용 완벽주의 척도 개발의 필요성을 제언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using generalizability theory, origin of errors that occur when H-MPS is applied to gifted students and seek optimal conditions for optimization of generalizability coefficient through D study, therefore strengthen the reliability of perfectionism scale. For this purpose, data was collected from 120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and 140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currently attending district-affiliated gifted education centers with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being deduced. First, in H-MPS, errors linked to subscales are dominant over errors linked to items, and search for another sources of error other than items or subscales is required. Second, while Cronbach's α of H-MPS is quite high(.97), the result of D study suggested otherwise- G-coefficient of .6944 and phi-coefficient of .5593 which are lower than the satisfactory level. Enhancing the efficiency of the test while maintaining its reliability at an appropriate level required subdivision of subscales into eight parts and a minimum of five or more item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proposes to bring more variables, along with current subscales and items, into consideration when implementing the reliability test on perfectionism scale, and to revalidate the subscales and items in its usage on the gifted, and conclusively, development of a perfectionism scale for the gift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인 영재와 일반인의 미성취감과 행복도 비교 및 창의성, 과제집착력, 미성취감, 행복도의 관계
- 일반아동, 지적장애아동, 영재아동의 KOPPITZ-2 반응과 임상적 유용성
- 다문화 영재교육 현재와 미래에 대한 논의
- 초등고학년 창의성 증진 프로그램(DHA-II)이 초등학생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초등 및 중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생애역량, 학업소진 및 행복감의 관계
- 영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의 신뢰도 분석
- 융합수업모델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진로핵심역량 및 창의적 성격에 미치는 효과
- 조율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자기조절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영재고등학생과 일반고등학생의 완벽주의 성향 비교
- ‘생각의 탄생’-13가지 생각도구를 기초한 유아교사의 유아 창의성교육의 의미 탐색
- 중학교 과학영재를 위한 팀 프로젝트 기반 적정기술 설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 ADHD영재아동과 ADHD아동의 인지·정서행동·양육특성 차이에 관한 혼합연구
- 초등교사의 창의성 수업에 대한 학생평가도구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